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한첩』서의 심미 양식 고찰

이용수 283

영문명
A Study on Aesthetic Style in Font Type of『Sinhancheop』- Focusing on『Sukmyeong-sinhancheop』·『Sukhwy-sinhancheop』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정복동(Jeong, Bok-dong)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23호, 205~23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9.28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17세기의 왕실언간이 성첩된『숙명신한첩』ㆍ『숙휘신천첩』의 한글편지 서체가 새로운 형식으로서 심미양식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에 관하여 밝히는 데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한글이 창제 된지 600여년이 지났는데, 아직도 한글 서체의 명칭이 통일되지 못하여 서예가나 논자마다 명칭을 달리하고 있는데, 조선시대 왕실의 언간은 그 시대를 대표하는 서체이므로 시대정신이 반영된 것이다. 1446년 훈민정음 반포당시의 서체를 고체 혹은 판본체라 명명한 이후 궁체의 완성시기를 18-19세기로 추정한다면 판본체와 궁체 이외에 궁중과 민간에서 쓰여진 수없이 많은 개성 있는 서체의 명칭은 과연 무엇으로 명명할 것인지가 관건이다. 또한 판본체에 관한 정의와 판본체라는 어휘도 서예공모전과 교과서에서 사용빈도가 늘어나면서 명칭이 일반화되었다고 보면 훈민정음 언해본을 근거로 <상원사중창권선문>과 유사한 서체의 명칭은 무엇으로 명명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여기에서 서체는 하나의 양식 즉 형식으로 규정하여 논하는 것이다. 양식이란‘일정한 모양이나 형식으로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히 정해진 방식이나 시대ㆍ부류에 따라 독특하게 지니는 예술의 형식’과 소통한다. 예컨대 당나라 안진경의 글씨는 ‘옛 것과의 사이에서 변화하여 필선의 양식이나 결구의 체계를 새로이 창안했다.’ 는 측면에서 그만의 ‘심미양식’을 인정하여 천고만대 또 하나의 모범으로 세웠다. 뵐플린(HㆍWolfflin)은 ‘같은 곳, 같은 시대 같은 流波에서도 개인적인 樣式이 있다고 하였다.’ 이런 점에 비추어 보면 왕들의 한글편지는 각각 心理의 희노애락에 따라 서풍을 달리 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 다른 樣式이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보면 17세기 왕후들의 서체가 지닌 심미양식은 예학과 긴밀한 호응관계에서 시대 정신이 반영되어있다. 왜냐하면 17세기의 왕의 친필과 16세기의 사대부 여성의 한글편지 등과는 필선의 양식과 장법의 규칙에서 확연히 다른 변화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17세기 인선왕후ㆍ장렬왕후ㆍ명성왕후ㆍ인현왕후의 친필서체는 분명 새로운 심미양식을 형성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요인은 조선 초 성리학이 정치 이념으로 자리 잡은 뒤 유학이 실천적 면모를 갖추게 되면서 왕실의 어른인 왕비들은 예를 실천하였기 때문에 자연 수신의 교화적 미의식이 강하다. 왕비의 正雅한 풍격을 이루고 있는 필획의 直筆化〔가로세로획 중심〕 현상의 공통점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인선왕후는 세자빈 시절에 9년 동안이나 심양에서 볼모의 험난한 생활을 하면서도 평상시의 법도를 잃지 않았으며, 왕후가 되어서는 더욱더 예로 몸을 단속하고 정성으로 위를 섬기며 內敎에 힘썼다. 이와같은 개인의 심미 특징 또한 장법의 변화를 가져오는 요인이다. 인선왕후는 손등이 아픈데도 공주들에게 보낸 70여 편의 글씨가 한결같은 서풍이다. 그의 이러한 서풍은 이후 시어머니이지만 7세가 어린 장렬왕후와 며느리인 명성왕후, 손주며느리인 인현왕후에게 전수되어 발전시키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17세기 왕후 중 가장 연장자이며 최초로 가로 세로획의 기필이 분명한 역입을 하였고, 중심축이 오른쪽 세로획으로 이동되어 새로운 장법의 형식을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인선왕후의 서체를 하나의 새로운 서체의 양식으로 간주하여 ‘인선왕후체’ 혹은 약칭으로 ‘인선체’를 제시한다. 이는 추사 김정희의 서체를 ‘추사체’ 혹은 ‘김정희체’라 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그러므로 상원사 중창 권선문 등은 ‘상원사 중창 권선문체’ 혹은 약칭으로 ‘권선문체’ 등으로 명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eks its significance to clarify whether font types of letters written in Korean(hereafter Hangul letters) on Sukmyeong-sinhancheop and Sukhwy-sincheoncheop in 17th century when royal letters were affixed with a government seal are with original forms and with characteristics of an aesthetic style. Even though it has already been over six hundred years since creation of Korean alphabet (hereafter Hangul), a name for Hangul chirography has not been standardized yet but royal letters of Joseon Dynasty are reflection of the spirit of that time with font types representing that era. Assuming that Gung Font (the court style of writing the Korean alphabet) reached its maturity in 18-19th century after naming the font type at the time of Hunminjeongeum proclamation in 1446 as Go Font (the old style) or Panbon Font (the woodblock-printed style), the question is how to name those numerous, individual font types used in court and among people other than Panbon Font and Gung Font. In addition, the definition and the term of Panbon Font itself have been generalized by using it on competitions and on textbooks so it is considered that there should be discussions on naming the font type similar to that of Temple Sangwon Jungchang Kwonson Writing transcribed on the basis of Hunminjeongeum Eonhaebon. The font type mentioned here is discussed through defining as one form or, in other words, one style. The style communicates with 'means with certain shapes or forms naturally determin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or art form with uniqueness in accordance with times and classification.' For example, in the aspect that calligraphy of Yan Zhenqing in Tang 'newly created styles of drawing lines or systems of concluding parts through changes from old ones,' his own 'aesthetic style' has been well acknowledged and it has served as another model of all generations. HㆍWolfflin said 'There are individual styles even with the same place, the same time and the same school.' In this context, Hangul letters written by kings are of different writing styles depending on their emotions such as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so there are separate forms each. In this context, the aesthetic style in 17th century queens' font types reflects the spirit of that time within close relationship of response with propriety study (禮學). It is because they present clear difference in styles of drawing lines and rules of writing norms from those of kings' own handwritings in 17th century and Hangul letters by gentry women in the 16th. In this respect, handwriting font types of Queen Inseon, Jangyeol, Myeongseong and Inhyeon in 17th century can be definitely evaluated to have obviously formed a new aesthetic style. As Confucianism was equipped with practical qualities after Neo-Confucianism was settled as a political ideology in early Joseon Dynasty, these factors are of strong edifying aesthetic consciousness through natural moral training since queens, the seniors of the royal family practiced propriety. It is demonstrated in the common linear stroke (cross, vertical stroke-oriented) phenomenon which composes queens' straight and elegant air. In addition, Queen Inseon did not lose her regular customs even with her 9-year-long hardship in Shenyang when she was the Crown Princess and she armed herself with more propriety, pursued spiritual culture while being attentive to elders after becoming the queen. These personal aesthetic features are also the elements to bring changes in writing norms. Queen Inseon displayed an unvarying font type in over seventy letters sent to princesses even with her pain on the back of the hand. It is shown that her font type was handed down to and developed afterward by Queen Jangyeol who was her mother-in-law even though she was seven years younger, her daughter-in-law Queen Myeongseong and her granddaughter-in-law Queen Inhyeon.

목차

<논문요약>
Ⅰ. 머리말
Ⅱ.『신한첩』서체의 형성배경
Ⅲ. 신한첩 서체의 심미 양식 분석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복동(Jeong, Bok-dong). (2013).『신한첩』서의 심미 양식 고찰. 서예학연구, (23), 205-234

MLA

정복동(Jeong, Bok-dong). "『신한첩』서의 심미 양식 고찰." 서예학연구, .23(2013): 205-2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