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한글 필사본『뎡니의궤(整理儀軌)』서체의 특징 연구

이용수 137

영문명
A Study on Characterized Hangul Handwriting, Duengni-uigwe Manuscript, in Joseon Dynasty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최영희(Choi, Young-hee)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23호, 173~20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9.28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뎡니의궤』는 정조시대의 문화정치를 대표하는 ‘顯隆圓園行’과 ‘華城城役’에 관한 내용을 날짜순으로 기록한 한글 필사본이다. 이는 전체 48책 중에서 현재 12책(권 29-36, 40, 46-48)이 프랑스 동양어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조선시대 한글로 필사된 국가 공식 기록물로서는 가장 이른 시기의 궁체로 精寫된『뎡니의궤』를 중심으로 서체의 조형요소를 분석 검토하여 궁체의 개념정의와 정형화한 궁체의 典型 등을 제시하고,『뎡니의궤』의 한글서예사적 위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뎡니의궤』서체의 조형적 특징을 문장의 배자 및 배열과 용필에서의 점획의 움직임을 子ㆍ母音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이에 12책의『뎡니의궤』가운데 서체의 특징이 돋보이는 권29, 33, 35, 47과 함께 憲宗代 서사궁녀에 의해 필사된 의례서『뎡미가례시일긔서체를 중심으로 비교분석을 하였다. 정조대의 사관에 의해 필사된『뎡니의궤』와 헌종대 서사궁녀에 의해 필사된『뎡미가례시일긔』서체를 비교 분석한 결과 궁중의례에 쓰인 궁체는 자음의 형태는 이미 正祖代에 완성을 보았으며, 憲宗代로 오면서 모음 세로획이 짧아지면서 圓形의 형태를 이루는 조형 체계에 예술적 미감을 발휘하였다.

영문 초록

Dyeongni-uigwe, a Korean manuscript, is written about ‘Hyun-Yoong-Won Won-Haeng’ and‘Hwa-Sung-Sung-Yuk’; these people are the key figures that represent the cultural politics during period of Jung-Cho dynasty. The eastern language school library in France owns only twelve books (volume29-36, 40, 46-48) among total forty-eight books. This study is held currently based on Dyeongni-uigwe, which is the nationally certified official documentary. It is transcribed in Hangul that is used during Joseon Dynasty, and it is legally transcribed in Goong-Chae, which was created during a very advanced period. The whol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Goong-Chae’s principle of conception and standardized Goong-Chae’s model based on the analyzed font’s shaping element. Dyeongni-uigwe, plasticly described feature of font, is analyzed in comparison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separ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it deals with the chronologic order of letters inside the sentence or movement of writing technique of the dot stroke. Hence, the volumes that describe the characteristic of font well became the main books to be analyzed in comparison between each other. Those books are following: volume 29, 33, 35, 37 and the written rite, Dyeongni-uigwe, which is transcribed by the narrating court lady from Heon-Jong dynasty. Based on the result of analyzing in comparison between Dyeongni-uigwe, the one that is transcribed by the officer from Jung-Cho dynasty and Dyeongmi-Garae-Siyilgwe, the one that is transcribed by the narrating court lady from Heon-Jong dynasty, the consonants of two fonts are formed already during Jung-Cho dynasty. However, the shortened version of vertical stroke made the circular figure, which displayed the artistical esthetic sense in modeling system after the time period became to be in Heon-Jong dynasty.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뎡니의궤』가 작성된 시대적 배경과 동시대 한글 문헌
Ⅲ.『뎡니의궤』의 서지적 고찰
Ⅳ.『뎡니의궤』서체의 조형적 특징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영희(Choi, Young-hee). (2013).조선시대 한글 필사본『뎡니의궤(整理儀軌)』서체의 특징 연구. 서예학연구, (23), 173-204

MLA

최영희(Choi, Young-hee). "조선시대 한글 필사본『뎡니의궤(整理儀軌)』서체의 특징 연구." 서예학연구, .23(2013): 173-2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