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묵 산수화의 예술적 정서 연구

이용수 229

영문명
A Study on the Sentiment of the Water Ink Landscape Painting - in Architectural Element of Landscape Painting -
발행기관
국민대학교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저자명
박병욱
간행물 정보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vol.4 no.1, 1~13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7.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산수화의 구성요소 중 자연요소인 山, 水, 雲과 함께 인공요소인 길, 다리, 누각 등의 구성 표현방식과 그 중 특별히 건축요소 표현을 통하여 작가가 구현하고자 했던 의도를 이해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건축요소 표현의 회화적 특징과 더불어 작품이 제작되는 당시 사회 문화적 배경과의 상호관계 연구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인 접근으로 분석을 시도한다. 산수화는 화조화나 인물화에 비하여 뒤늦게 출현함에도 회화사의 중심적 위치를 점유한 쟝르이다. 특별히 “자연회귀”나 “天人合一”의 정신은 文士들의 탈속(脫俗), 은사(隱士)의지와 부합하여 일찍이 사의화(寫意畵)의 중심으로 자리잡는다. 산수화의 건축요소 고찰을 위하여 해당시기 변화하는 건축관에 대한 전반적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산수화의 전반기, 세밀하고 정확한 표현이 강조된 畵院화가의 작품과 자(界尺)를 활용하여 건축물을 정확히 묘사한 界畵의 과도기를 거쳐, 사실적 묘사나 기교적인 속박으로부터 벗어나 寫意畵의 과정에 이르러서는 자연산수 풍광(風光)에 건축요소를 묘사하는 것이 단순히 점경(点景)을 표시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내포한다. 뜻을 담아(寫意) 산수화를 그려내고 지인들과 함께 감상하며 문사(文士)들이 동감하는 자연철학에 대한 신봉체험은 물질과 정신의 결합을 이루어 내면서 당시 정치 사회적 이슈를 포괄하는 일종의 문화현상으로 드러난다. 근자에 이르러 산수화는 지속적인 변화를 거듭하며 주요요소 및 건축 구성요소의 경우 다른 회화분야처럼 전형적인 궤도를 이어가는 추세로 정형화 부호화 상징화를 넘어 추상화 되어가는 일련의 현상으로 드러나게 된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is due to understand the mode of expression about the component of water ink landscape painting including mountain, water, cloud and hardscape as road, bridge, castle, etc, especially through architectural expression. Detail approach has tried to analyze the pictorial features in the architectural element and the study of mutual relation with sociocultural background of the time. Landscape painting is a genre which accounts for important central position in history of painting, nevertheless water ink landscape painting emerges later than the emersion of the flowers and birds painting and figure painting. In particular, the spirit of ‘return to nature’ and ‘theory that man is an integral part of nature’ corresponds with the worldliness of the scribes and the hermit spirit, soon landscape painting is situated in the center of the freehand brush work (Xieyi painting). To consider the sentiment of the water ink landscape painting, overall understanding of contemporarily changing architectural view should be preceded. Going through a period of transition, the first half-year of landscape painting, the paintings of emphasizing the elaborate and accurate expression by the artists and the ruler paining using rulers for precise description, in process of freehand brush work, escaping from the restriction of realistic description and technicalism, describing architectural elements in the scenery of natural landscape is beyond just painting the landscaping. Painting the landscape painting with the meaning contained, sharing with their friends, espousing experience of natural philosophy that literary men agree with, achieves the combination of material with spirit. Therefore, it appears with the cultural phenomenon which contains the political and social issue in those days. Recently, landscape painting has gone through several changes and started along typical lines that arouse a series of phenomenon, standardization, encoding, symbolization and lastly, symbolization, as other fields of painting.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산수화의 기원과 변천
3. 산수화의 구성요소와 건축
4. 산수화중 건축, 회화구도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병욱. (2012).수묵 산수화의 예술적 정서 연구.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 4 (1), 1-13

MLA

박병욱. "수묵 산수화의 예술적 정서 연구."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 4.1(2012): 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