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자유선택놀이 경험에 관한 연구

이용수 484

영문명
Trainee Teachers' Experiences of Free-choice Play during Practicum
발행기관
한국변형영유아교육학회
저자명
안혜준(Ahn, Hey-Jun)
간행물 정보
『변형영유아교육연구』제5권 1호, 73~9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실습 기간 동안 예비유아교사들의 자유선택놀이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스무 명의 서울소재 전문대학 3학년 예비유아교사들은 4월 4주간의 교육실습기간에 각 놀이영역의 환경구성, 교사의 유아놀이 개입, 유아들의 자유선택놀이 계획, 실행, 평가에 대한 과제를 수행했다. 또한 자유선택활동 경험을 중심으로 한 반성적 저널쓰기 과제를 부여 받았다. 실습이 종료된 후 다섯 명의 학생은 실습경험과 관련해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실습기간 동안 유아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자유선택놀이를 관찰한 후 교사가 자유선택놀이를 계획, 실행,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지도교사가 적절한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그렇지 못한 실습현장에서는 학교에서 배운 진정한 의미의 이상적인 자유선택활동이 아닌 것에 대한 혼란을 경험하기도 했음이 드러났다. 또한 예비유아교사들은 자유선택활동을 방해하는 요소들을 조건부 자유선택활동, 특별활동으로 밀려나는 자유선택활동, 환경적 제약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실습이 예비유아교사들이 자유선택활동의 다양한 측면을 경험하게 하는 기회가 되며, 현장에서의 경험이 현재를 살아가는 유아들의 놀이 현실을 반영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n free-choice play during practicum. The participants of the current study were 25 college students who were taking the course "Play Instruction."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ir observation notes, assignments during practicum, reflective journals, and focus group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rainee teachers believed that the teachers' role was critical in terms of providing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lay materials and arranging enough time for play. However, they also observed many obstacles in children's free play due to academic activities. Although pre-service teachers have been taught the importance of free play, they perceived that there was a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For instance, allocating only a short period of time to play suggests that play is not a very important thing to do and discourage children from become involved in complex play. Teachers should plan free play periods carefully in order to ensure that there is sufficient time for complex play to emerge. However, some pre-service teachers observed that children should finish structured activities in order to be allowed to play. For some children it took a long time to finish the assigned activity and had a limited time to play. There was desirable learning happening through practicum. Traine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teachers role was critical in supporting play. They observed that teachers, who value play as an important learning experience and who actively support that play, make a difference to the type and level of play that occur.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혜준(Ahn, Hey-Jun). (2011).예비유아교사의 자유선택놀이 경험에 관한 연구. 변형영유아교육연구, 5 (1), 73-96

MLA

안혜준(Ahn, Hey-Jun). "예비유아교사의 자유선택놀이 경험에 관한 연구." 변형영유아교육연구, 5.1(2011): 73-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