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업도시 포항의 기업과 지역사회의 역학관계
이용수 376
- 영문명
- 발행기관
- 지역사회학회
- 저자명
- 장세훈
- 간행물 정보
- 『지역사회학』지역사회학 제11권 제2호, 165~19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흔히 기업도시는 대기업이 지역사회를 일방적으로 지배하는 도시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업도시 내에서 대기업과 지역사회간의 역학관계를 그렇게 간단히 단정지울 수만은 없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한국의 대표적인 기업도시인 포항을 사례 지역으로 삼아 외지엘리트와 토착엘리트의 행태를 중심으로 대기업과 지역사회간의 역학관계를 통시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했다.
그 분석을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먼저 국가기구의 성격, 도시 규모 그리고 기업의 조직 구성은 외지엘리트와 토착엘리트의 행태 및 기업-지역사회 관계를 규정짓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다. 다음으로 국가기구의 민주화, 기업도시의 도시화 그리고 기업의 민영화가 진행되면서, 지역사회와 토착엘리트에 대한 외지엘리트의 태도는 배제에서 포섭으로, 대기업과 외지엘리트에 대한 토착엘리트의 태도는 수용에서 대항으로 바뀌어 왔다. 그리고 기업-지역사회 관계는 기업의 절대적 우위에서 상대적 우위를 거쳐 최근에는 양자의 상생적 협력 관계로 바뀌고 있다.
그 과정에서 기업의 지배력은 과거에 비해 약화되었지만, 지역사회에 대한 우위를 여전히 잃지 않고 있다. 따라서 포항 사례에 비추어 볼 때, 기업도시에서 대기업의 일방적 지배가 항상적으로 관철된다는 주장도 받아들이기 어렵지만, 대기업이나 외지엘리트가 토착엘리트에게 기업도시의 지배권을 넘긴다는 주장도 수긍하기 어렵다.
영문 초록
목차
Ⅰ. 문제제기
Ⅱ. 기업도시 엘리트 연구의 방향
Ⅲ. 기업도시 조성과 지역엘리트 관계: 1960년대 후반
Ⅳ. 기업-지역사회 분절과 지역엘리트 관계: 1970-80년대
Ⅴ. 지역사회의 반격과 지역엘리트 관계: 1990년대
Ⅵ. 탈지역화, 재지역화와 지역엘리트 관계: 2000년대
Ⅶ.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BEST
- 일본의 ‘관계인구(関係人口)’ 개념의 등장과 의미, 그리고 비판적 검토
-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 정신간호실습 전ㆍ후 비교
- Rogers의 인간중심상담과 이야기 치료 이론 비교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NEW
-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 Public Value on the Makeup Behavior of the Women in Their 40s and 50s
- The Effects of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Execution on Appearance Perception and Self-Efficacy of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Values and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Parents: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