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대학생의 이러닝 수업에서 학업정서 척도(e-AES)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758

영문명
Development and Construct Validation of e-Learning Academic Emotions Scale(e-AES)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유지원(You, Jiwon) 김혜정(Kim, Hyejeong) 박성희(Park, Sung Hee)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0집 제3호, 19~4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8.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이러닝 수업상황에서 학습자의 학업정서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수행되었다. 도구개발을 위하여 학업정서 연구에 대표적으로 활용되는 성취정서질문지(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를 검토하고 이러닝 수업상황에 적합한 문항을 선별하여 번역하였으며, 이러닝환경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정서 측정문항을 추가하여 예비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예비척도의 문항을 선별한 뒤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요인의 구조를 확인하는 1차 연구와 1차 연구에서 최종 선정된 도구의 타당도를 다른 표본에서 재검증하는 2차 연구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이러닝을 수강하는 대학생 992명의 자료를 수집하고 3개의 표본으로 분리하여 1차와 2차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358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6요인(즐거움, 자신감, 두려움, 화와 절망감, 지루함, 학습환경불안감)으로 이루어진 26문항이 선정되었다. 이어서 앞선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334명의 자료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22문항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 도구는 타당한것으로 분석되었다. 최종 선정된 도구를 e-AES(e-learning Academic Emotions Scale)로 명명한 뒤, 2차 연구에서는 e-AES의 타당도를 재확인하고자 1차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300명의 이러닝 수강생의 자료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e-AES의 타당도와 신뢰도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role of emotions in academic settings; however, the role of emotions in e-learning has been hardly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academic emotions scale which measured the students’ academic emotions during e-learning. For this study, the survey items relevant to e-learning were chosen from AEQ (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 and then a few items newly constructed were added to the survey items. Students enrolled in two e-learning courses in a university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Among them 992 participants completed the survey, and then the collected data was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Firstly, bot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employed with the data from the two groups to find the dimension of the construct of the scale and to test its construct validity. As a result, 22-items were determined for the scale, e-AES(e-learning Academic Emotions Scale), and the six dimensions of e-learning academic emotions were included: enjoyment, confidence, anxiety, frustration, boredom, and learning environment anxiety. Secondly, to confirm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AE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employed with the data from the third group. The result indicated that e-AES was reliable and valid. In addition, some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지원(You, Jiwon),김혜정(Kim, Hyejeong),박성희(Park, Sung Hee). (2012).한국 대학생의 이러닝 수업에서 학업정서 척도(e-AES) 개발 및 타당화. 열린교육연구, 20 (3), 19-44

MLA

유지원(You, Jiwon),김혜정(Kim, Hyejeong),박성희(Park, Sung Hee). "한국 대학생의 이러닝 수업에서 학업정서 척도(e-AES) 개발 및 타당화." 열린교육연구, 20.3(2012): 19-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