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주생활과 공간구조의 관계에 따른 쿄마찌야(京메家) 분석

이용수 99

영문명
A Study on Analysis of Contex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iving and Spatial Structure in the Kyo-machiya
발행기관
국민대학교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
저자명
박진아
간행물 정보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vol.3 no.1, 49~57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7.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주거 건축은 그 당시의 문화적 산물이며,주거환경의 문화적 차원은 주거 공간의 사회적 측면 또는 주거공간과 사회와의 관계를 통해 공간의 기능 수립과 공간의 구성 및 형태가 형성되며 상호간의 연결관계를 연구하는 것은 이 주거 공간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뿐 아니라 필수적 이라 할 수 있다 일본의 전통주거 건축의 공간 구조에 대한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일본의 쿄마찌야(京町家)를 대상으로 객관 적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주거 공간의 전체 구성의 위상학적,형 태학적인 해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생활 행위와 전통주거건축의 공간구성의 관계적 속성을 파악하고 특정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공간구성 형태 또는 형상의 특정을 정량화하여 상호 비교 분석할 수 있는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사회문화적인 배경의 차이에 의해 형성 된 일본의 전통주거의 건축공간 구성 형태를 객관적인 지표를 이용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먼저 분석대상 사례들의 볼록공간도들을 각각 작성하고 이로부터 위상연계 도를 추출 한다. 추출된 위상 연계도들로 부터 공통된 유전자형을 추출 하고, 이에 대한 공간기능을 파악하여 공간적 구조의 개념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비교분석 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traditional townhouse forms and architectural elements within and around Japanese traditional townhouses are an extension of cultural principles employed in dwelling setting and organization. Wlen examined at in tandem, they offe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s of these elements to traditional values and attitudes in terms of how and Wny traditional townhouse spaces were organized. Traditional dwelling floor plans form the corpus of this study, and are used to explore the extent to Wnich culture information might be present in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their spatial layouts. Space syntax methodology is a graph-based theory prooedure intended to analyze nodal diagrams of plans to arrive at the cultural norms behind the morphology of buildings. Such a configuration of space identifies patterns that can be used to study spatial configurations and activities. In this paper, space syntax is used to examine the spatial morphology of traditional townhouse of kyoto, based on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variation in spatial configurations and behavioral directives present in SOCiety-spatial relations are reflected in the spatial configurations of traditional townhouse. This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understating how architecture can be used to identify enduring activities and spatial configuration.

목차

요약
Abstract
1. 서 론
2. 쿄마찌야(京町家)의 공간구조 분석
3. 쿄마찌야의 공간구조 분석
4. 쿄마찌야의 위상학적 유형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진아. (2011).주생활과 공간구조의 관계에 따른 쿄마찌야(京메家) 분석.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 3 (1), 49-57

MLA

박진아. "주생활과 공간구조의 관계에 따른 쿄마찌야(京메家) 분석." Journal of Oriental Culture&Design, 3.1(2011): 49-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