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행의 괴리

이용수 157

영문명
Gap between knowing and doing: A philosophical analysis
발행기관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저자명
신차균(ChaKyun Shin)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31집, 1~3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2.28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사람들은 흔히 지행의 괴리를 극복하는 것이 도덕교육의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지행의 괴리라는 것이 과연 존재하는가, 그것을 극복하는 것이 도덕교육의 참된 과제인가 하는 문제는 엄밀한 철학적 분석이 필요한 문제이다. 그것은 ‘도덕성의 본질’과 ‘도덕적 앎’을 무엇으로 보느냐는 관점과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지행의 괴리 문제에 관한 통속적 해석이 행위윤리학적 관점에 입각한 것이라는 점과, 그 관점에 입각한 도덕교육은 표면적 행동에 초점을 맞추게 됨으로써 결국 지행의 괴리를 극복한다는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 점을 논증했다. 지행의 괴리라는 문제의식은 도덕성의 본질에 대한 피상적인 이해에서 비롯된 잘못된 문제의식이다. 존재윤리학적 관점에서 볼 때 지행의 괴리는 도덕성의 결핍 또는 도덕적 무지현상을 가리키는 것이며, 이 관점에 입각할 때 도덕교육은 단순히 행위규범을 내면화시키는 일이 아니라, 행위규범의 이면에 붙박혀 있는 도덕 이념을 실현함으로써 총체로서의 마음을 함양하는 일이다. 이렇게 보는 것이 도덕교육의 성격을 올바르게 파악하는 길이다.

영문 초록

Does there really exist any gap between knowing and doing? This problem is a years-old topic of philosophical debates on moral education. If any gap really exists there, how to bridge the gap is the most serious problem in practicing moral education. The key to resolve this question depends on what is ‘morality’ and what does the ‘moral knowledge’ mean. There are two different interpretations on this matter. ‘A commonsense interpretation’ insists that there exist a gap between knowing and doing and bridging the gap is the most important task of moral education. This interpretation assumes that morality〔morality of action〕 exist in a external society, not in a internal mind, as a system of norms which can be stated as propositions. And also assumes that moral knowledge means knowing those propositions. So it insists that the main task of moral education is internalizing those norms into students’ minds. But ‘a moral mind-centered interpretation’ insists that there is no gap between knowing and doing, because doing is an expression of one's real being(or one's moral mind). This interpretation assumes that morality〔morality of being〕 exists in a internal mind, not in a external society. Though morality reveals itself as a moral action in a concrete situation, before it expresses itself, it is not identifiable as some concrete norms of action and cannot be stated some propositions. So moral knowledge means one’s moral mind as a whole, not knowing some identifiable propositions. According to this interpretation, the most important task of moral education is cultivating a moral mind as the inner source of morality in its true sense. This study attempted to re-examine the two interpretations and their implications on moral education. If we accept the ‘commonsense interpretation’, the focus of moral education will be put on external behavior of students’, not on their internal minds. It may result a failure in cultivating moral mind, and bridging the gap between knowing and doing cannot be achieved. So I insist that moral education should focus on cultivating moral mind as a whole, and that ethical thinking in its true sense is needed in practicing this notion of moral educat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지행의 괴리에 대한 두 가지 해석
Ⅲ. 행위의 도덕성과 존재의 도덕성
Ⅳ. 존재의 형성으로서의 도덕교육
Ⅴ. 도덕적 언어와 행동 통제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차균(ChaKyun Shin). (2012).지행의 괴리. 교육논총, 31 , 1-31

MLA

신차균(ChaKyun Shin). "지행의 괴리." 교육논총, 31.(2012): 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