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중 학업성취도의 변화 측정을 위한 점수산출 방법의 비교

이용수 293

영문명
A Comparison of the IRT-Based Score Scales and the Number-Correct Score Scale for Measuring Changes in Student Achievement During the School Year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김선(Sun Kim) 김성훈(Seonghoon Kim)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24권 제4호, 1039~106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초등학교 수학과 성취도 검사의 네 개의 동형 검사(A, B, C, D)를 동등집단 설계를 통해 실시하여 연중 학업성취도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문항반응이론(IRT) 능력(θ) 척도와 정답수 점수 척도를 비교하였다. 이 네 개의 동형검사를 125명의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에게 한 학년도 동안 일정한 간격으로 실시하여 연중 학업성취도의 변화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자료를 기초로 하여, IRT 능력추정 척도들(최대우도 추정 θML, 가중우도 추정 θWL, 사후기대 추정 θEAP)과 검사특성함수 T(θ)에 의한 그 변환 척도들, 그리고 정답수 점수(X) 척도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X 척도를 사용할 경우,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는 연중 감속적 성장 패턴을 보였으며, 측정 시점-내 점수의 분산은 (네 측정 시점들 간에) 증가-감소-증가의 불규칙한 변화 패턴을 보였다. θML과 θWL 척도의 경우, 성취도 점수들은 네 측정 시점들에 걸쳐 감속과 가속이 혼합된 성장 패턴을 보였으며, 측정 시점-내 점수의 분산은 세 번째 측정 시점까지 감소하다가 이후 다시 증가하는 불규칙한 패턴을 보였다. 한편, θEAP, T(θML), T(θWL), T(θEAP) 척도의 경우, 성취도 점수들은 네 측정 시점들에 걸쳐 감속과 가속이 혼합된 성장 패턴을 보였으나, 측정 시점-내 분산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패턴을 보였다.

영문 초록

With the use of four alternate forms (A, B, C, and D) of a mathematics achievement test for 5th-grade elementary students and the equivalent groups design, item response theory (IRT) based proficiency (θ) scales and the number-correct score scale were developed for measuring changes in student achievement during the school year. The four forms were administered, in sequence with approximately equal intervals during the 2009 school year, to 125 5th-grade students, so that their one-year achievement data were obtained. Based on these data, psychometric properties were examined comparatively among the three proficiency scales (θML, θWL,θEAP) associated with the maximum likelihood (ML), weighted likelihood (WL), and expected a posteriori (EAP) estimations, the three non-linearly transformed proficiency scales [T(θML), T(θWL), T(θEAP)] by the test characteristic function for Form A, and the number-correct scale (X). The X scale produced a pattern of decelerating growth over the four times of measurement and produced an irregular pattern in changes of within-time variance that the variances of scores increased, decreased, and then increased over time. With the ML and WL scales, the scores reflected a mixed pattern of decelerating and accelerating growth during the year and the within-time score variances tended to decrease to the third time point but after then increase. In contrast, for the EAP, T(θML), T(θWL), and T(θEAP) scales, achievement scores showed a mixed pattern of decelerating and accelerating growth, but the within-time score variances showed a continually increasing pattern during the school year.????

목차

Ⅰ. 서론
Ⅱ. 연중 성장 점수 산출을 위한 자료수집 설계와 능력추정 방법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Sun Kim),김성훈(Seonghoon Kim). (2011).연중 학업성취도의 변화 측정을 위한 점수산출 방법의 비교. 교육평가연구, 24 (4), 1039-1060

MLA

김선(Sun Kim),김성훈(Seonghoon Kim). "연중 학업성취도의 변화 측정을 위한 점수산출 방법의 비교." 교육평가연구, 24.4(2011): 1039-10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