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피아니스트』에 나타난 씨네페미니즘적 요소

이용수 219

영문명
The Piano Teacher and Cinefeminism
발행기관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저자명
이숙희(Lee, Suk-Hee)
간행물 정보
『젠더와 사회』여성연구논집 제21집, 201~2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하네케 감독의 『피아니스트』는 특히 여성의 섹슈얼리티와 관련한 프랑스 페미니스트들의 영향력이 광범위하게 드러난 작품이다. 이 연구는 이 작품에 나타난 페미니즘을 정신분석학적 씨네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으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러티브적 요소로서, 이 영화는 여성 주인공 에리카에 스토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남성중심적 영화에서 여성은 대체로 부차적이거나 결핍된 존재로 그려지는 데에 비해 여기서는 시나리오 전체가 에리카의 주체성과 섹슈얼리티 탐색에 맞춰져있다. 사회적으로 성공한 여성이자 탁월한 재능의 소유자로서 에리카는 지식과 권력의 근원으로 설정되어 있다. 영화는 이러한 팔루스적 권능의 에리카가 섹슈얼리티 문제에 있어서 어떻게 이성애적 가부장제에 굴복하고 마는지를 그려내고 있다. 둘째, 영화는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오이디푸스 전단계의 관점에서 풍부하게 강조한다. 프로이드에 따르면 이 단계에서 여아는 남아와 마찬가지로 능동적인 성적 충동을 지닌다. 이 단계는 또한 성적 쾌락이 다형적으로 충족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영화의 중반에 이르기까지 에리카의 섹슈얼리티는 이러한 전오이디프스적 속성을 강하게 드러내는데 다양한 형식의 성적 쾌락이나 강한 능동성이 그 대표적 예이다. 셋째, 모녀 관계가 매우 강조되어 있다. 모녀 관계는 에리카의 섹슈얼리티 구성에서 가장 중요하게 지시되는 항목일 뿐만 아니라 실제로 오이디푸스의 삼각형을 형성하는 중심적 인물인 아버지는 스크린 위에 재현조차되지 않고 있다. 에리카의 어머니는 단순히 “어머니”로 불리는데 이것은 법의 근원이며 행사자로서의 어머니의 권위를 상징한다. 거세당한 어머니가 아니라 거세자로서의 어머니는 에리카에게 억압과 외경의 모순적 대상이 된다. 이와 같은 풍부한 페미니즘적 요소에도 불구하고 영화는 에리카의 실패로 끝난다. 월터와 사랑에 빠지면서 에리카는 자신의 능동적이고 다형적인 성충동을 포기하고 남근중심적 이성애의 질서 속에 자신을 복무시킨다. 이때 그가 선택하는 방식은 극도의 마조히즘인데 이것은 오히려 월터에게 하나의 “도착”으로 이해되면서 월터의 강간으로 이어지게 된다. 영화의 결말은 전체적으로 여성이 그 사회적 독립과 성공에도 불구하고 섹슈얼리티의 독립과 자율권을 성취하기가 얼마나 지난한 것인가를 드라마틱하게 그려낸다. 이것은 또한 역설적이게도 이러한 정신분석학적 테두리 내에서 구성된 여성의 섹슈얼리티가 일정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점을 드러냄으로써 여성 섹슈얼리티에 대한 더 넒고 더 복잡한 형식의 사유가 필요함을 시사하기도 한다.

영문 초록

The Piano Teacher, directed by Michael Haneke, well reflects how French Feminism affected cinemas especially in terms of female sexuality. This article analyzes the specific elements of cinefeminism in this text. First, in the aspect of narrative, The Piano Teacher is focused on the female character, Erika, who unlike the typical women in phallocentric movies holds a clear initiative of the story. Being a successful talented professor of Vienna Conservatory she employs supreme power and authority, which have been generally allowed to male protagonists. The whole story of the film is about Erika who struggles to establish her sexuality in the heterosexual patriarchy as independently as her social career. Second, the film abundantly emphasizes on female sexuality in the Pre-Oedipal stage. According to Freud girls' sexuality is as active as boys' in the Pre-Oedipal. They are also common in that their sexuality is polymorphic. Erika in the earlier part of the film shows great sexual activeness as well as a variety of polymorphic sexuality. Third,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is much more referred to than the Oedipal triangle in the constitution of Erika's sexuality. Erika's mother is never given a name; she is simply called as "Mother", a status symbol of the matriarchal authority. As a castrating mother she is the object of both fear and admiration. In spite of all these feministic factors the film leads to the failure of Erika's sexuality. Fallen in love with Walter, she struggles to fix her sexuality to Walter's romantic heterosexual phallocentircism. She puts her sexuality in an extreme Masochist's position, the "pervertness" of which furies Walter and induces him to rape her. This stark ending of the film shows how hard it is for female sexuality to negotiate with heterosexual patriarchy; it also suggests feminists that to find a more realistic and successful position of female sexuality now we have to look at this issue beyond the narrow domain of the Psychoanalysis.

목차

I. 서론
II. 『피아니스트』의 페미니즘적 요소
III. 가부장적 이성애와 여성 섹슈얼리티
I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숙희(Lee, Suk-Hee). (2010).『피아니스트』에 나타난 씨네페미니즘적 요소. 젠더와 사회, 21 , 201-223

MLA

이숙희(Lee, Suk-Hee). "『피아니스트』에 나타난 씨네페미니즘적 요소." 젠더와 사회, 21.(2010): 201-2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