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Examining Inequality in Housing Allocation and Housing Affordability

이용수 111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주택학회
저자명
Jin-Kyung Lee(이진경) Seong-Kyu Ha(하성규)
간행물 정보
『주택연구』住宅硏究 第19卷 第1號, 139~15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2.28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주거복지 실현을 위한 핵심요소로써 부담가능주택에 거주할 수 있는 기회균등의 중요성을 제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네가지 분석을 실행하였으며 그 결과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득분배의 불평등만큼 주택할당의 불평등도 존재할 뿐 아니라 심각하다는 것을 10분위분배배율을 통해 제기하였다. 둘째, 그 격차내에서도 계층별 영향정도가 소득의 경우와 주택의 경우가 확연히 다르다는 것을 경제학적 비율개념을 적용하여 개발한 지표에 의해 설명하였다. 즉, 소득분배의 불평등 격차는 5분위이하에서 64.8%가, 주택할당의 불평등 격차는 5분위 이상에서 64.4%가 설명되는데 소득분배는 소득이 낮은 집단의 격차가 더 크고 주택할당은 주택가격이 높은 집단의 격차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소득과 주택가격의 빈도분석을 통해 저소득계층일수록 부담가능주택에대한 수급불균형이 심화될 수밖에 없는 여건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각 소득계층별 부담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존 PIR 지표를 소득계층과 주택가격계층을 10개 그룹으로 나누어 동일그룹간의 PIR을 산정하였는데 그 결과 최저소득-최저가격 그룹인 그룹1의 PIR은 9.77배, 그룹10의 PIR은 8.35배로 두 그룹 모두UN-HABITAT에서 제시한 PIR의 임계치(좋은 주택금융시장이 형성되어 있는 상황에서도 신규주택구입이 어려운 정도) 5배 보다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택유형의 양극화도 나타나고 있는데 낮은 소득 계층의 부담가능 주택은 다세대와 다가구 주택에 한정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저렴한 이들 주택들이 뉴타운과 재개발사업으로 인해 멸실되어가고 있어 주택유형의 양극화는 심화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proposes that an equality of opportunity to dwell in affordable housing is a key factor for housing welfare in our society. It looks at whether or not inequality of housing allocation is as serious as inequality of income and it examines housing affordability within each income group. Also, the paper proposes a methodological development which uses the logic of income equality measurement, the 10th decile over 1st decile ratio, inorder to estimate inequality of housing allocation. It applies the ratio system rearranged by 5th decile in housing price and income and uses natural logarithms on both sides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main impact bracket of the inequality. The first finding is that the inequality of housing allocation is as serious as the inequality of household income in Seoul, but the main cause bracket of the inequality in income is a contrast to that of housing allocation. The inequality in income spans a wide range below 5th deciles and that in housing price is due to an excessive gap above 5th deciles. The second finding is that Seoul has a partial disequilibrium problem between supply and demand, what households can actually afford is mismatched with affordable housing stocks. The third finding is that affordability in both the highest and lowest income brackets is poor, because both are twice the PIR threshold (five times) of UN-HABITAT. The final finding is that there is a polarization in housing types. Higher-income households live in apartments, whereas lower-income households live in “Dagagu” and “Dasyedae”, which are small low-priced housing units. Furthermore, the quickening pace of reconstruction projects in Seoul has increased the demolition of relatively low-cost dwellings, thus depriving many of the opportunity to reside in affordable housing.

목차

I. Introduction
II. Methodology and Data
III. Empirical Results
IV. Conclusion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Jin-Kyung Lee(이진경),Seong-Kyu Ha(하성규). (2011).Examining Inequality in Housing Allocation and Housing Affordability. 주택연구, 19 (1), 139-157

MLA

Jin-Kyung Lee(이진경),Seong-Kyu Ha(하성규). "Examining Inequality in Housing Allocation and Housing Affordability." 주택연구, 19.1(2011): 139-1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