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노년기 우울장애 환자의 측두엽 용적

이용수 61

영문명
Temporal Lobe Volume in Geriatric Depressive Patients: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발행기관
대한노인정신의학회
저자명
김창현(Chang-Hyun Kim) 윤영국(Young-Kuk Yun) 최성환(Sung-Hwan Choi)
간행물 정보
『노인정신의학』노인정신의학 제5권 제1호, 58~66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의약학 > 정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1.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 적: 노년기 주요우울장애 환자와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측두엽 용적을 비교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자기공명영상 자료를 이용해 컴퓨터 용적 측정기법으로 측두엽 용적을 측정하였다. 방 법: 50세 이상이면서 주요우울장애를 가진 국립의료원 신경정신과 입원환자 15명, 정상 대조군 14명을 대상으로 자기공명영상 자료를 얻어 반자동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 측두엽 용적을 측정하였다. 두 군간의 좌, 우 측두엽 용적을 비교하고 각 군에서 편측성을 확인했다. 또한 환자군내에서 용적비교와 편측성을 확인했으며 유병기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했다. 결 과: 환자군과 대조군의 좌, 우 측두엽의 용적의 차이는 없었다(우측 p=.760, 좌측 p=.219). 대조군에서는 우측이 좌측보다 큰 측두엽 용적의 편측성(p=.002)이 나타났으나 환자군에서는 차이가 없었다(p=.644). 환자군 내에서 발병연령에 따른 측두엽 용적은 차이가 없었으며 유병기간과도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노년기 주요우울장애 환자에서 구조적인 뇌변화를 확인하기위해 실시한 본 연구에서 측두엽 용적의 변화는 없었으나 대조군에서 보이는 용적의 편측성이 환자군에서는 소실되는 소견을 보였으며 이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일부 일치하는 결과로서 추후 보완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and compare temporal lobe volumes of geriatric depressive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Temporal lobe volume was measured with computerized volumetric technique using brain MRI films. Method:We studied 15 patients of 50 years or older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and 14 normal control subjects, measured temporal lobe volumes and cerebral volumes of both groups using semi-automated imaging analysis program from brain MRI films. A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to compare right and left volumes in both groups and to compare right and left volumes in each group. The comparison of right and left volumes between early-onset MDD group and late-onset one and correlation with duration of illness of MDD group were taken too. Results:There was no difference in right and left temporal volumes between MDD group and normal control (right p=.760, left p=.219) bu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ight and left volume in normal controls who have larger right temporal lobe volume than left temporal lobe volume (p=.002) compared to MDD patients who have no difference between right and left temporal lobe volume (p=.644). In MDD patients,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early-onset MDD group and late-onset one and no correlation of volume with duration of illness. Conclusion : This study aiming at identifying the structural change of brain in geriatric depressive patients did not reveal any difference of temporal lobe volume between MDD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and between right and left temporal lobe in geriatric MDD patients. The loss of laterality in patients was partially identical with the previous results of other studies, so it needs further following studies which have larger size of subjcets with various implicated variables and more fine brain structures.

목차

서 론
연구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창현(Chang-Hyun Kim),윤영국(Young-Kuk Yun),최성환(Sung-Hwan Choi). (2001).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노년기 우울장애 환자의 측두엽 용적. 노인정신의학, 5 (1), 58-66

MLA

김창현(Chang-Hyun Kim),윤영국(Young-Kuk Yun),최성환(Sung-Hwan Choi).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노년기 우울장애 환자의 측두엽 용적." 노인정신의학, 5.1(2001): 58-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