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년기 주요우울장애 환자에서의 해마 용적

이용수 139

영문명
Hippocampal Volume in Elderly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발행기관
대한노인정신의학회
저자명
윤선욱(Sun-Wook Youn) 김창현(Chang-Hyun Kim) 강병조(Byung-Jo Kang)
간행물 정보
『노인정신의학』노인정신의학 제6권 제2호, 117~127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의약학 > 정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12.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 적: 이전의 연구결과 주요우울장애 환자에서 동반하는 인지적 손상이 해마 병리와 연관된다고 한다. 최근 연구들은 성인과 노년기 우울장애 환자의 해마에서 구조적 이상을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자군과 대조군을 대상으로 또, 환자군을 조발군과 만발군으로 나누어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해마 용적을 측정, 비교하였다. 방 법: DSM-Ⅳ에 의해 주요우울장애로 진단받은 50세이상의 환자 14명과 일반 대조군 14명이 포함되었다. 자기공명영상 자료에서 반자동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마 용적을 측정하였다. 두 군간의 좌, 우 해마용적을 비교하고, 편측성을 조사하고 환자군에서 용적과 발병연령, 교육기간, 정신과 입원횟수, 이환기간, 입원시 MMSE점수, 질환의 심한 정도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 과: 환자군과 대조군의 해마 용적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좌 p=.948,우 p=.539), 조발 환자군내에서 좌측 해마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자군 전체에서 질병기간과 대뇌용적 사이, 이환기간과 대뇌용적에 대 한 좌측 해마용적비 사이, 발병연령과 대뇌용적에 대한 좌측 해마용적비가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조발환자군에서 입원시 MMSE 점수와 대뇌용적에 대한 좌측 해마용적비가 강한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만발 환자군에서 정신과 입원횟수와 입원시 MMSE 점수, 정신과 입원횟수와 대뇌용적, 발병연령과 정신과 입원횟수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해마 용적과 다른 임상 인구학적 변인들간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 주요우울장애 환자군에서 해마 용적의 변화를 발견하지는 못하였고 주요우울장애 환자군에서 해마 구조이상에 대한 큰 규모의 체계적인 연 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Many recent studies of relationship between geriatric depression and changes in brain have examined the structural abnormalities in hippocampus. Using MRI, the hippocampal volumes of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control subjects for research of above relationship. Method:Fourteen patients (early-onset five, late-onset nine)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based on DSM-IV and fourteen age-matched normal controls are included. Applying semiautomated computer program to MRI, we measured and compared the hippocampal volumes in two groups. Moreover we identified the laterality and the correlation of the volumes with age of onset, duration of education, numbers of psychiatric admission, duration of illness, MMSE scores at admission, and severity of depression. Result: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hippocampal volumes of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those of control subjects.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patients was observed between duration of illness and left hippocampal volume to cerebral volume ratio. In early-onset depressed patients, left hippocampal volume was larger than in late-onset depressed patients and the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MMSE scores at admission and left hippocampal volume to cerebral volume ratio. In late-onset depressed patients, there was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numbers of psychiatric admission and MMSE scores at admission as well as and between cerebral volume and age of onset. Conclusion:Our study indicated no change in the volume of hippocampus among geriatric major depressive patients. So we suggest that more extensive and systematic studies for structural abnormality of hippocampus will be required.

목차

서 론
연구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선욱(Sun-Wook Youn),김창현(Chang-Hyun Kim),강병조(Byung-Jo Kang). (2002).노년기 주요우울장애 환자에서의 해마 용적. 노인정신의학, 6 (2), 117-127

MLA

윤선욱(Sun-Wook Youn),김창현(Chang-Hyun Kim),강병조(Byung-Jo Kang). "노년기 주요우울장애 환자에서의 해마 용적." 노인정신의학, 6.2(2002): 117-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