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松隱 朴翊先生墓 出士遺物의 考古學的 解釋

이용수 209

영문명
An Archaeologicl Interpretation on the artefacts found from Park Ik Tomb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鄭義道(Jung, Eui-Do)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33輯, 345~37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박익묘는 고려시대에 유행하였던 방형분에 석실묘로 조성된 것인데 발굴조사 결과 석실 내에서 출토된 유물은 관재와 지석, 청동제 수저 한 벌이 있고 화문각석과 9점의 동전은 도굴갱내에서 수습되었다. 고려말에서 조선초에 조성된 분묘에서 출토되는 유물상을 고려하면 박익묘에는 청동제합 세트, 동경, 철제가위, 유리제 장신구, 벼루 등이 당시의 부장품으로 매납되었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박익묘는 지석과 동전 등의 유물로 보아 조선시대에 조성된 것이 분명하지만 방형분과 석실묘, 관재의 문양, 화문각석, 수저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전통을 따라 조성된 것임을 보여주는 중요한 예라고 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유물은 묘주와 장례시기를 알려주는 지석이라고 하겠다. 지석은 그 내용에 있어서는 대단히 소략한 점이 있어 그 연유는 박익의 생애와 장례 시기 등을 아울러 검토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즉 지석에 국호를 새기지 아니한 것은 고려의 사람으로 조선의 세상을 살았던 박익으로서는 불가피한 선택이었을지도 모른다. 또한 조선시대에 이르면 방형분과 석실묘가 거의 사라지고 석재로 만든 지석도 그 예가 드문 편인데 박익묘에서는 고려조의 전통을 고수한 까닭인지 방형으로 하고 석재지석을 사용하였다. 아울러 관에도 옻칠을 한 후 그 외변에는 범자문과 중권문을 시문하여 불교적인 색채를 강하여 보여 주고 있다. 그리고 사용흔이 남아 있는 한 벌의 청동제 수저는 고려나 조선의 무덤에서 수저 한 별로 출토된 것도 드문 경우긴 하지만 청동숟가락은 형식 분류 상 장릉형에 속하는 것으로 고려~조선시대 분묘에서도 그 출토 예가 드문 것이다. 또한 9점의 동전은 모두 중국전으로 고려시대 이래 중국에서 전래된 묘장풍습이 그대로 전해진 결과로 볼 수 있으며 아울러 도교적인 매지사상을 보여주는 유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영락통보는 지석의 기록을 뒷받침하는 아주 중요한 유물로 1398년에 세상을 떠난 박익선생의 묘가 1403년 이후에 새롭게 조성되었음을 알려주는 자료라 하겠다. 그리고 화문각석은 연이 잎이 나서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 세 단계를 표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겠고 한 쌍의 역만자원문과 연과를 함께 새긴 것은 불교적 색채를 뚜렷이 하고 있으며 관재에 그려진 범자문과 더불어 분명한 불교적인 문양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쉬운 것은 도굴로 인하여 화문석이 원래의 위치를 알 수 없는 것이며 각석의 4면 중 1면이 비어있는 것은 벽면 한쪽에 세우기 위한 것으로 판단되지만 이와 유사한 출토 사례가 아직은 없어 정확한 설치 목적을 알기가 매우 어렵다. 이와 같이 박익묘의 조선시대에 조성된 분묘로는 드문 형식의 방형분의 석실묘이고 벽화는 원대의 벽화를 답습하는 내용으로 그리고 있어 박익선생은 그의 말처럼 왕씨의 혼을 따라 조선초기를 살았던 마지막 고려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봉분 후면의 곡장과 병풍석 사이의 부석층에서 15세기 중반의 분청자 대접과 도제 병이 출토되고 혼유석이 부가된 것은 박익묘가 축조된 이래 끊임없이 유지 보수되어 왔음을 보여주는 자료라고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e artefacts found from Park Ik tomb include memorial stone, bronze spoon and wood for a coffin. To a certain extent, nine coins were found inside of the despoiling hole. Given the burial artefacts in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bronze mirror, bronze plate set, iron scissors, glass ornaments and inkstone were entombed in Park Ik tomb. The most important artefact is a memorial stone which describes the deceased and time of the funeral. Normally this kind of stone shows very simple information and so further researches regarding Park Ik’s lifetime and more detailed funeral resources should be carried out. The memorial stone has not contained the nationality and this is because Park Ik regarded himself as Goryeo people not a Joseon when the tomb was constructed. When it comes to Joseon Period, people did not build chambered-tombs and memorial stones. Park Ik tomb seemed quite different from this tradition as Park Ik maintained Goryeo tomb style which is chambered-tomb with memorial stone. Also lacquered coffin with Sanskrit and other decorations were found. The used bronze spoon set found here is a quite rare example of Goryeo and Joseon tomb conditions but given its types, these spoons belong to long-curved style. Nine coins all are Chinese' and they were buried according to the China's tomb burial customs which had been the tradition of Goryeo Period. This customs also had shown the Taoism culture of buying the burial land from the God. The coin of Ming China (Youngraktongbo) is such an important artefact which proves when this tomb was made. Flower-pattern embedded stone that depicted three steps of lotus blooming and the Sanskrit decorations are all related to Buddhism culture. As of the tomb robbery, it is not certain where the flower-pattern stones belonged to. Also one out of four stones has not been found so far and this kinds of artefacts have not been reported yet. Therefore exact purpose of the artefact cannot be discussed here unless further researches undergo. Park Il tomb was made during Joseon Period but it is a very rare chambered-tomb style with containing of Mural paintings of Won China. Therefore Park Ik may be the last Goryeo person of Joseon Period who pursued Wang spirit as he mentioned before. Furthermore grayish- blue-powdered ceradon and ceramics of 15th century were founded backwards of the tomb and this proved that the tomb of Park Ik continued to be under the maintenance since it was created.

목차

Ⅰ. 序
Ⅱ. 遺物의 出士狀態
Ⅲ. 出土遺物의 特徵과 解釋
Ⅳ. 結 論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鄭義道(Jung, Eui-Do). (2010).松隱 朴翊先生墓 出士遺物의 考古學的 解釋. 선사와 고대, 33 , 345-374

MLA

鄭義道(Jung, Eui-Do). "松隱 朴翊先生墓 出士遺物의 考古學的 解釋." 선사와 고대, 33.(2010): 345-3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