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판적 사고를 위한 교육

이용수 747

영문명
Education for Critical Thinking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저자명
성기산(Sung, Ki-San)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24권 제3호, 155~17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다문화사회에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문제 해결 능력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간이 자신의 삶을 설계하고 미래에 잘 대처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지식을 암기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현실을 직시하고 자신이 어떤 상황에 있는가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이런 능력의 핵심은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데 있기 때문에 비판적 사고를 기르기 위한 교육의 본질을 파악하는 일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쟁점을 중심으로 교육의 이상적인 목적 가운데 하나인 비판적 사고란 무엇이며, 비판적 사고의 구성 요소는 무엇인가를 분석한 다음, 비판적 사고를 증진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기술과 능력, 그리고 성향의 측면에서 비판적 사고의 의미를 밝히고, 사고의 기술과 비판정신의 측면에서 비판적 사고의 구성 요소를 규명하고, 비판적 사고 능력을 기를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영문 초록

It is often thought that in a multi-cultural democratic society, where individuals are expected to be able to chart their own courses in life, the ability to think thoroughly about all kinds of concerns is an essential attribute and one to be cultivated. Making informed judgements about one’s personal affairs would seem to be desirable and expected outcome of any education in such a society. To be a critical thinker is an ideal aim of education in modern society. So in this paper what is education for critical thinking as an aim is discussed. At first, what is critical thinking is defined from the viewpoint of good judgements and valid reasons. Secondly, the components of critical thinking is discussed on the basis of critical spirit and thinking skills. And finally, method of teaching to be critical is suggested with the strategy to increase thinking skills.

목차

Ⅰ. 서론
Ⅱ. 비판적 사고의 의미
Ⅲ. 비판적 사고의 구성요소
Ⅳ. 비판적 사고의 증진 방안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기산(Sung, Ki-San). (2010).비판적 사고를 위한 교육. 교육사상연구, 24 (3), 155-172

MLA

성기산(Sung, Ki-San). "비판적 사고를 위한 교육." 교육사상연구, 24.3(2010): 155-1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