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종단연구를 통한 '말늦은아동(late-talker)'의 표현어휘발달 예측요인 분석

이용수 2607

영문명
A Longitudinal Study of Predictors for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of Late-Talker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홍경훈(Gyung Hun Hong) 김영태(Young Tae K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0권 제1호, 1~2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3.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말늦은아동’의 표현어휘발달을 예측할 수 있는 평가변인들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말늦은아동’ 중에서 자연적으로 표현어휘발달수준이 정상수준에 도달한 집단과 계속해서 지체를 나타낸 집단이 나타낸 의도율, 유형율, 몸짓율, NDW, 자음율 그리고 언어검사인 SELSI의 표현언어발달점수와 수용언어발달점수 등의 평가변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SELSI의 수용언어발달점수를 제외한 모든 평가변인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집단 차이가 나타났으며, 모든 평가변인들이 집단변인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본 연구에 포함된 평가요인들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평가를 통하여 ‘말늦은아동’의 자연적인 표현어휘발달을 통계적으로 타당하게 예측할 수 있었으며, 평가변인들 간의 상대적인 집단 예측기여도는 유형율, NDW, 몸짓율, SELSI의 표현언어발달점수, 자음율, 그리고 의도율 순으로 나타났다. 임상현장에서의 실질적인 활용을 고려하여 측정과 분석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평가변인들인 의사소통의도 관련, 구어형태 관련 그리고 언어검사도구 관련 평가변인들로 나누어 구축한 판별함수모형들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판별분석에서 나타난 각 판별함수모형의 집단 예측력과 분류정확율을 비교분석한 결과, 의사소통의도 유형율과 NDW가 ‘말늦은아동’의 표현어휘발달을 가장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ssessment variables for predicting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of late-talkers. Forty-one late-talkers between 18 and 30 months old at the time of intak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se participants were initially identified as late-talkers because their expressive vocabulary sizes scored below -1SD on the MCDI-K. Descriptive assessment variables(e.g., overall rate of communicative intentions, size of communicative intention inventories, rate of communicative gestures, number of different words and proportion of consonants in communicative utterances) and psychometric assessment variables(e.g., expressive and receptive language development scores from the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were measured at intake. Six months after intake, each participant received a follow-up, in which the MCDI-K measured the participants’ expressive vocabulary size again. The follow-up data indicated that 18 late-talkers caught up with their normal peers(denoted as late-bloomers) while the other 23 continued to show signs of expressive vocabulary delay(denoted as truly-dela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late-bloomers and truly-delayed children significantly differed in all the following variables except for SELSI’s receptive language development scores: overall rate of communicative intentions, size of communicative intention inventories, rate of communicative gestures, NDW, proportion of consonants and SELSI’s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scores. According to discriminant analyses, the size of communicative intention inventories proved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in all variables and NDW proved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in verbal-related variables. However,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scores, using SELSI, proved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in SELSI-related variables.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경훈(Gyung Hun Hong),김영태(Young Tae Kim). (2005).종단연구를 통한 '말늦은아동(late-talker)'의 표현어휘발달 예측요인 분석.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0 (1), 1-24

MLA

홍경훈(Gyung Hun Hong),김영태(Young Tae Kim). "종단연구를 통한 '말늦은아동(late-talker)'의 표현어휘발달 예측요인 분석."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0.1(2005): 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