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Sensitization and Desensitization Effects in TEOAEs

이용수 55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김진숙(Jinsook Kim) 이정학(Junghak Lee)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3권, 84~104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8.10.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클릭음으로 유발 생성되는 이음향 방사(Transient Evoked Otoacoustic Emissions, TEOAEs)를 이용하여 청각의 민감 (sensitization) 및 둔감(desensitization) 효과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민감 및 둔감효과는 중고강도의 비교적 짧은 소리자극에 의해 나타나는데, 민감효과는 일시적으로 소리를 잘 듣게되는 현상이고, 둔감효과는 일시적으로 소리를 더 못듣게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효과를 검사하는 방법으로는 청력역치검사, 전기생리학적검사, 등골근반사검사, 이음향방사검사 등을 들 수 있다. 16명의 성인 (21- 29세, 평균 24.6세) 정상청력 여성의 한쪽 귀를 대상으로, 16개의 대상귀 중 8개의 귀는 한 개나 그이상의 자발이음향방사 (Spontaneous Otoacoustic Emission, SOAE)가 존재하는 귀 로, 나머지 8개의 귀는 SOAE가 부재하는 귀로 선정하였다. 자극소리는 순음으로 강도는 70과 100 dB SPL, 즉 중강도와 고강도의 두 단계로, 주파수는 500, 1500 (SOAE가 있는 그룹은 가장 강한 OAE가 생성되는 주파수보다 ½옥타브 아래에서), 그리고 4000 Hz, 즉 저주파수 중주파수, 고주파수의 세 단계로 구분하였다. 자극지속시간은 90초로 고정하였다. 자극음을 주기 전에 3번 TEOAE를 검사하여 기초선을 설정한 후 자극음을 주고 10분간 TEOAE를 검사하였다. 검사는 전반 5분간은 매 20초마다, 후반 5분간은 매 30초마다 검사하여 26회 TEOAE를 측정하였다. TEOAE의 존재인정 기준은 소음대보다 적어도 5 dB 이상 더 강한 반응이며 재현이 50 %이상 가능한 반응만을 채택하였다. 두 단계의 자극강도 단계, 세단계의 자극 주파수 단계, 그리고 26회의 시간별 측정 단계의 상이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Repeate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법으로 통계처리를 하였다. 강도, 주파수, 측정시간의 영향을 분석하였을 때,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강도, 주파수, 측정시간의 모든 단계가 TEOAE의 강도변화를 일반적 변화와 다르게 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소리자극의 두 단계 강도 중에서 고강도 소리가 세단계 주파수중에서 저주파수 소리가 더 강한 효과를 나타냈 다. 고주파수 소리자극으로는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SOAE가 있는 그룹과 없는 그룹 간에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일반적으로 자극 후 측정시간대 별로 TEOAE의 강도변화를 분석하였을 때, 자극후 20초에서 1분 40초사이에는 TEOAE 강도가 증가하여 민감효과를 보이고, 자극후 2분에서 4분 사이에는 TEOAE 강도가 감소하여 둔감효과를 나타내었다. 그 이후 10분까지는 점진적이고 단순하게 회복되는 곡선이 관찰되었다.

영문 초록

Sensitization and desensitization effects in human transient evoked otoacoustic emissions (TEOAEs) were explored following exposure to brief pure tones. Their differential effects of frequencies, low, mid and high, and intensities, moderate and intense, were also carefully examined. Sixteen normal hearing young females, eight of them with one or more spontaneous otoacoustic emissions (SOAEs) and the other eight without SOAEs served as subjects. A repeate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was perform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general shape of the recovery pattern as a function of post - exposure time in TEOAEs demonstrated a sensitization effect between 20 seconds and 1 minute 40 seconds and a desensitization effect between 2 and 4 minutes. Both frequency and intensity of the exposure signal significantly differed in the magnitude and configuration of sensitization and desensitization. Depending on the exposure to pure tones, the time course was divided into the three types - the combination of sensitization and desensitization effects, only significant desensitization effect, and the initial sensitization effect. The characteristics and modalities of recovery pattern following the sound exposure are remarkably similar to the findings of behavioral sensitization and desensitization effects . This similarity suggests that in the nature of the motile activity of the cochlear partition, principally the outer hair cells are responsible for changes in OAEs and behavioral thresholds following the acoustic overstimulation. Additionally, the sensitivity of TEOAEs to intense sound exposure indicates that TEOAEs can be used for monitoring hearing changes following the sound exposure.

목차

I. Introduction
II. Methods
III. Results
IV. Discussion
References
한 글 요 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숙(Jinsook Kim),이정학(Junghak Lee). (1998).Sensitization and Desensitization Effects in TEOAE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3 , 84-104

MLA

김진숙(Jinsook Kim),이정학(Junghak Lee). "Sensitization and Desensitization Effects in TEOAE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3.(1998): 84-1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