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正祖의 <大老祠碑>(1787년) 前面 篆書 연구

이용수 208

영문명
Study on the Seal Characters of King Chong-jo's Daerosabi (in 1787)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이인숙(Lee, In-suk)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16호, 203~22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3.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大老祠碑>는 正祖(재위 1776~1800)가 1787년 직접 써서 하사한 ‘大老祠碑’ 네 자를 새겨 세운 석비로서, 宋時烈을 향사한 경기도 여주 대로사에 있다. <대로사비> 前面 篆書는 小篆이 대부분인 조선시대 碑額과는 다른 특이한 大篆으로서유사한 예를 찾기 어려운 대작이다.성리학이 주도 이념으로 자리 잡은 16세기 중반 이후 국왕의 문예활동에는 많은 제약이 있었다. 그럼에도 정조가 <대로사비>와 같은 대작을 남길 수 있었던 배경에는 강화된 왕권을 바탕으로 많은 시와 서예를 남기고 서화를 감상하는 등 다양한 문예활동을 했던 숙종과 영조의 선례가 있었다.정조의 서예는 전서 ․ 해서 ․ 행서 ․ 초서, 한글 등 각체가 비문 ․ 현판 ․ 묵적 ․간찰 등 다양한 매체에 걸쳐 남아 있다. 정조의 서예는 어필이라는 국왕의 상징 자본을 당대의 정치적 필요에 의해 적절히 활용한 실용적인 용도의 것이었다. 정조는금석문을 많이 남겼는데 비문 뿐 만 아니라 비의 篆書까지 직접 쓴 것은 주목할만하다.그간 <대로사비> 전서 서체는 기필과 수필이 뾰족한 획의 형태로 인해 막연히懸針篆이나 柳葉篆으로 일컬어져 왔다. 그러나 <대로사비> 전면 전서의 자형을분석한 결과 祠자의 ‘示’ 부분이 설문해자의 籒文임을 밝힐 수 있었다. 정조는<대로사비> 전서를 당시까지 실제 적용된 유례를 찾기 어려운 籒文으로 書寫하였다고 판단된다.정조가 주문으로 <대로사비>를 쓴 것은 의례용의 서체인 전서로서 학문적 이념과 정치적 정체성을 나타내기도 했던 조선시대의 특수한 상황으로 인한 것이었다.許穆의 眉叟篆이 남인들의 비액에 사용됨으로서 그들의 이념적, 정치적 정체성을나타내는 표지로 작동했고, 영조가 ‘洪武正韻體’로서 대명의리를 표명했듯 정조는국왕으로서의 정체성을 주문으로서 나타내고자 하였다고 여겨진다.<대로사비>는 정조시대의 가장 거대한 정치 집단이었던 노론의 종주이자 주자학자인 송시열에 대한 존숭을 표시하면서 국왕의 더 큰 통합력으로 노론을 포용하고자 한 정조의 의지에서 나온 작품이라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Daerosabi(大老祠碑) is a stone monument inscribed with handwritings bestowed on Song Siyeol (宋時烈) by King Chong-jo(正祖), in 1787, and it is in Yeoju, Kyungkido. Daerosabi seal characters(篆書) on the front is a great work with an unusual type of Daejeon(大篆), which is quite differentfrom Sojeon(小篆) on general stone monuments in the Choseon dynasty, and so it is not that easy to find a similar example like this. There'll be no question to say that a king's own handwritings be used as political symbols. But there were quite a restriction for a king to do literary activities such as calligraphies by the influence of Neo-Confucianism. King Yeong-jo(英祖) and Chong-jo left a lot of handwritings in the latter part of the Choseon dynasty, and it was influenced by King Suk-jong(肅宗), who had a lot of interest in literature. On the basis of strengthened royal authority, Suk-jong left his own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he also appreciated of other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these literary activities by Suk-jong became a background for Chong-jo to leave a great calligraphic work such as Daerosabi. Chong-jo(reigned 1776-1800)'s calligraphy has various types of the classic writing styles; Jeonseo(篆書) ․ Haeseo(楷書) ․ Haengseo(行書) ․ Choseo(草書), Korean (한글). And these various writing styles used on various media such as stone monuments, signboards, letters, documents, and some other calligraphic materials are handed down today. Chong-jo used his handwritings properly for the political necessities of the time. Especially, Chong-jo left a lot of seal characters(篆書), and it is noteworthy. Till now, the calligraphic writing of the seal characters of Daerosabi has been called Hyunchimjeon(懸針篆) or Yuyeopjeon(柳葉篆), because it have the shape of the sharp stroke. But by analyzing the form of the seal characters on the front of Daerosabi, a fact that the first part Si(示) of the word Sa(祠) is Jumoon(籒文) of Seolmoonhaeja(說文解字)is found. It's adjudged that Chong-jo wrote the seal characters on the front of Daerosabi with Jumoon, which was very hard to find a descended example applied the same way till then. It's due to the special situation of the Choseon dynasty, in which the seal characters, a ceremonial handwriting, reflects the academic ideology and political identity, that Chong-jo wrote Daerosabi with Jumoon. By using Heomok(許穆)'s Misujeon(眉叟篆) on the monument of Namin(南人) group, it became means of explaining their ideological and political identity. Chong-jo intended to express the identity of a king with Jumoon. Daerosabi is an expression of honor towards Song Siyeol, who was the core of Noron(老論), the greatest political group at the time of Chong-jo, and also it is figured out that this work is out of Chong-jo's will to embrace Noron with bigger integra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어필, 국왕 필적의 의미
Ⅲ. 정조의 서예와 전서
Ⅳ. 大 ․ 老 ․ 祠 ․ 碑 자형 분석
Ⅴ. 서체와 이념, 그리고 정치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인숙(Lee, In-suk). (2010).正祖의 <大老祠碑>(1787년) 前面 篆書 연구. 서예학연구, (16), 203-226

MLA

이인숙(Lee, In-suk). "正祖의 <大老祠碑>(1787년) 前面 篆書 연구." 서예학연구, .16(2010): 203-2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