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圓佛敎 書藝史에 關한 砑究

이용수 44

영문명
A study on the History of the Calligraphy in Won-Buddhism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曺首鉉(Cho, Soo- Hyun)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5호, 239~277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9.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少太山(朴重彬, 1891-1943)은 창생을 구원할 교법을 제정하고, 전북 익산에 중앙총부를 세우며 본격적인 교화활동을 전개해 나가면서 輝院이라는 교육기관을 두어 교역자의 인격양성과 일반교도의 종교교육을 실시하였다. 소태산의 교육사업은 일본의 방해로 재세시에 활발하게 전게되지 못하였으나, 鼎山(宋奎, 1900-1962) 애 의해 ‘唯一學林’이 설립되면 서 제도권교육으로 자리잡게 되었으니, 이것이 도덕대학을 지향하는 오늘의 圓光大學校이다. 이 원광 대 학교에 崔正均(南丁, 1924-2001) 등 이 중심이 되어 서예학과를 설립한 것이 1989 년이다. 당시 書藝學科의 설립은 국내는 물론 국외의 중국이나 일본 등에도 없는 일로,서예 를 통한 문화유산의 계승과 도덕교육의 방법은 학계의 주목을 끌기에 충분하였다. 서예학과는 서예의 학적 연구를 통해 서단에 일대변혁을 가져오게 하였으며, 이 후 국내 각 대학에 다수의 서예학과가 설치되고 한중일 삼국간에 예술교류를 증진시켜 이른바 서예학이라는 새로운 학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할 때, 원불교의 서예를 구주제로 다루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원불교의 가치와 사명은 일원상 진리를 證得하여 파란고해의 일체중생을 광대무량한 낙원으로 인도하는 데에 있다. 그 중에서 “스승의 법을 새로 내는 일이나, 제자들이 그 법을 받아서 후래 대중에게 전하는 일이나, 또 후래 대중이 그 법을 반가이 받들어 실행하는 일이 三位一體되는 일이라. 그 공덕도 또한 다름이 없나니라”는 소태산의 언급에 비추어 볼 때 ‘ 제자들이 그 법 을 받아서 후래 대중에게 전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서예를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법을 口傳이나 筆墨 으로 모두 전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문화란 언어문자를 통해 개념화되고 체계화되기 때문에 이를 소홀히 해서 는 안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서예의 중요성에 비추어 원불교의 서예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그 성격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원불교의 창립은 현대교육이 시작되는 시기였으므로 전통적인 서예작품이 풍부하지는 않으나, 소태산의 법문과 그 해석, 공부인의 신앙과 수행, 그리고 의식집과 서예지도첩, 금석문과 현판 등 다양하게 베풀어진 서예작품을 망라하여 체계화 하고, 그 가운데 나타나는 사상적 특징을 밝혀보려는 것이다. 종래 이 방면에 관한 연구는 거의 행해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이르러 원불교의 역사문화에 관한 정리가 행해지고, 교학연구도 교리학 . 교화학과 함께 역사연구도 활발해져 서예와 같은 특수한 영역에 대한 연구가 요청되는 상황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불교서예사의 연구는 다만 서예연구에 그치지 않고, 서예작품에 나타나는 특징을 통해 교리사적 의미도 밝힐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원불교의 서예와 관련된 자료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그 구체적인 면모를 究明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이를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불교의 서예는 서예사 내지 서단의 큰 흐름 속에서 파악할 수 있고,실제로 호남서단의 인맥이 원불교 교단과 교류하고 관련한 작품을 남기고 있다. 둘째, 원불교 서예는 소태산과 정산, 그리고 대산으로 이어지는 법통을 통해서 살펴보는 것이 그 본질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이 法統과 함께 선진들의 작품을 살펴보면 시대상과 교리형성의 과정 등이 잘 드러나고 있다. 셋째, 원불교 서예작품은 이러한 구도 아래 소태산.정산.대산을 중심으로 한 유묵, 선진들의 유묵 그리고 금석문 및 현판 등으로 대별할 수 있다. 넷째, 원불교 서예의 성격을 정리하며, 법문.歲言.揮毫.標式.牌銘.例文.簡札.敎本 등 다양하다. 이들이 교리적 성격을 띠고 있는 것은 말할 나위 없으며, 한자교육이나 서예교육을 위한 교본까지 갖추어져 있으므로 서예가 폭넓 게 유행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종교의 교리가 대중에게 수용되기 위해서는 자유스러우면서도 격을 높여주는 예술의 매체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서예는 대표적인 성격을 띠어 왔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Sotaesan(少太山 朴重修: Park , Jung-Bin, 1891 - 1943) enacted the religious doctrine of Won- Buddhism, and established the central headquarter of Won- Buddhism in Iksan. After that, as he developed the genuine activities of cultivation and established an institution called Sernwon(禪院), Sotaesan carried out the character building for Won-buddhist workers and the religious education for general Won- Buddhists. Sotaesan’s educational works had not been carried out successfully in his period for Japan’s interference, but as Jungsan(鼎山 宋奎: Song, Gyu, 1990-1962) established"Yuilhaklim(唯一學林)", it later became a formal educational institute and was the beginning of "Wonkwang University" heading toward a moral university. With Choi , Jerng-Gyun(崔표均, 1924-2001) et. al. as central figures, Wonkwang University established the department of calligraphy in 1989. At that time, there had been no precedent of the establishment of the department of calligraphy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Japan and China. Therefore, the succession of cultural property and the method of moral education through calligraphy were enough to attract people ’s inte rest. The department of calligraphy brought about the revolution of calligraphy order through academic studies on calligraphy, and then as several universities in Korea established the department of calligraphy and increased the activities of artistic exchanges among three countries, Korea, Japan and China, it has brought out the birth of the new academic circle "calligraphy science". Based on the premise , it is very important to deal with the calligraphy in Won-Buddhism as an academic subject. The value and mission of Won- Buddhism is to guide a11 living things in this world to the vast and infinite paradise through the enlightenment of Il-Won-Sang truth. Among them, cons id e ring one of the Sotaesan’ s mentions "that a master creates a discipline, that his disciples succeed to it and impart it to descendants , and that the descendants heartly accept and fulfill it should be the three in one (三位一體).", calligraphy deserves attention as one of the methods that disciples succeed to the discipline and impart it to descendants. Of course, the true meaning of a religious discipline cannot be fully transmitted by word of mouth or literature , but given the fact that culture is conceptionalized and organized with languages and characters, these cannot be regarded carelessly.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calligraphy,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organize the calligraphy of Won-Buddhism an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s the foundation of Won-Buddhism was done in the beginning period of modern education, there we re not many traditional works of calligraphy. However, this study attempts to cover and organize all the works of calligraphy presented in Sotaesan’s scriptures and its interpretation, the followers' be lief and practice , the ritual cannons, the map books of calligraphy, inscriptions on stone monuments , and hanging boards with calligraphy, and to find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shown in these works. Until now, there has been no study on this subjects. But, now that, with the rigorous activities for the study of Won-Buddhism theory and cultivation, the studies on the history and culture of Won-Buddhism has been performed, the studies on calligraphy as a peculiar field have been required. Therefore, not only the study on the history of the calligraphy in Won- Buddhism can be dealt with in the field of calligraphy, but also it can he lp make clear its historical meaning of Won-buddhism. This study’s main purpose is to organize all the works and literatures related to calligraphy and to find their specific characteristics.

목차

Ⅰ. 序論
Ⅱ. 圓佛敎 書藝文化 形成의 時代的背景
Ⅲ. 圓佛敎의 書藝와 그 구분
Ⅳ. 少太山과 先進의 遺墨
Ⅴ. 원불교 성지의 현판과 금석문
Ⅵ. 원불교 서예의 특징과 전망
Ⅶ. 結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曺首鉉(Cho, Soo- Hyun). (2004).圓佛敎 書藝史에 關한 砑究. 서예학연구, (5), 239-277

MLA

曺首鉉(Cho, Soo- Hyun). "圓佛敎 書藝史에 關한 砑究." 서예학연구, .5(2004): 239-2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