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韓國의 漢文字 流入과 擴散에 대한 考察

이용수 286

영문명
A Study on Inflow and Spread of Chinese Character in Korea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고광의(Ko Kwang Eui)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5호, 5~2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9.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韓國의 漢文字는 中原지역과 접촉을 통해서 유입되었다. 지금까지 발견되는 문자 관련 유물 들을 살펴보면 韓半島에서 적어도 기원전 4세기 경부터는 古朝蘇을 비롯한 한반도에 한자가 유입되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春秋戰國時代에 중원 지역의 전란을 피하여 이주한 주민의 대량 유입은 우리나라 初期國家들에 漢文字가 전해지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특히 기원전 2 세기 衛滿세력과 함께 들어온 한문자는 점차 한반도 전역으로 유입되어 당시 일부 소국들은 중원과 ‘書’ 를 통해서 교류할 정도로 한문자의 수준이 향상되었다. 그리고 창원 다호리 유적에서 발견된 기원전 2~1 세기의 붓과 創刀는 한반도의 최남단에까지 이미 한문자가 수용되어 사용되었음을 보여주는 것들이다. 우리나라의 한문자 유입과 확산에서 樂浪을 비롯한 漢四那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발견되는 낙랑의 한문자 유물은 祐個縣神 祠牌를 비롯하여 印章.封泥.鋼器.鋼鏡.互.博.土器.樣器 등에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어 낙랑 사회 전반에 漢文字가 폭넓게 사용되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낙랑의 발전된 한문자는 삼국과 직간접적으로 접촉함으로서 우리나라 三國時代 초기 한문자의 확산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기록에 의하면 삼국은 건국 초기에 史書와 鉉情詩를 남길 정도로 건국 초기에 이미 상당한 수준의 한문자를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각 국들 간에 교섭에 있어 文書를 용하였고, 왕위계승에서 國璽의 양도가 중요한 행사였던 점으로 보아 삼국초기부터 이미 일정한 정도로 文書行政이 시행되었다고 볼 수 있어, 삼국시대 초기 사회 저변에 한문자가 일정하게 확산되었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inflow and spread of Chinese character in Korea. It is considered that inflow of Chinese character in the Korean peninsula was begun between 4 B.C. and 3 B.C. and it was accepted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between the late of 2 B.C and the early of 1 B.C. in particular, historical records that immigrants coming into Samhan region in the south of the Korean peninsula to escape the disturbance of war in the Jin settled at Mahan and Jinhan or the entities of brush and cutter found at Dahori relics, Changwon, Gyeongnam, Korea evidenced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southern extremity of the Korean peninsula positively. It is noted that roles of four counties in the Han centering around Naknang were remarkable in accepting and spreading Chinese characters. Famous relics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 were increased in their quantities and also showed a variety of aspects in their contents. These facts explained that Chinese characters were rapidly extended in the Korean peninsula, starting from the installation of four provinces in Han. in particular, seals of Naknang found in large quantities were directly related to official documents and it suggested that documentary administration was already begun in the Korean peninsula at that time. in addition, the applications of Chinese characters to private life like use of money with inscription suggested the inflow and utilization of Chinese character throughout the base of our soclety. The Three Kingdoms already used Chinese characters from the early period of its establishment because it was used as the means for continuing the close relationship to neighboring countries through documentary diplomacy. And it seemed that documents were used at domestic general administrations as well as for diplomatic means among countries. Especially, the succession of the throne was achieved by the transfer of seal in the Goguryeo since the 2C and it was a typical ruling methody of the ancient society that established the royal authority by grasping documents. Delivery and execution of royal order which was decided when there was an important event of country in the age of the Three Kingdoms were based on the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 and it meant that the Chinese character was spread throughout the society.

목차

Ⅰ. 머리말
Ⅱ. 初期國家의 漢文字
Ⅲ. 三國時代 初期의 漢文字 擴散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광의(Ko Kwang Eui). (2004).韓國의 漢文字 流入과 擴散에 대한 考察. 서예학연구, (5), 5-24

MLA

고광의(Ko Kwang Eui). "韓國의 漢文字 流入과 擴散에 대한 考察." 서예학연구, .5(2004): 5-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