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뇌성마비 아동의 씹기 능력 관련 요인

이용수 618

영문명
Factors Affecting the Chewing Ability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최명수(Myung Soo Choi) 김향희(HyangHee Kim) 김덕용(Deog Young Kim) 박은숙(Eun Sook Park)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4권 제1호, 117~127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3.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뇌성마비 아동은 비정상적인 턱, 입술 및 혀 움직임으로 인하여 정상 아동과는다른 씹기 양상을 보일 수 있다. 비정상적 씹기는 뇌성마비의 유형, 중증도, 비정상적 구강반사(예, 혀 떠밀기), 구강감각이상, 경기력, 인지 능력 등과 밀접하게 관련될 수 있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상기한 총 6가지 요인들 중에 어떤 요인들이 뇌성마비 아동의 씹기 능력과 관련이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65명의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유형과 경기력은 의료기록을 통해 확인하였고, 중증도는 의료기록을 통해 GMFCS 단계를 확인하거나 1인의 물리치료사가 직접 평가하였다. 비정상적 구강반사, 인지 능력 및 씹기 능력은 직접 평가를 통해확인하였다. 그리고 구강감각이상은 보호자에게 평가항목을 제공하여 체크하도록 하였다.결과: 총 6가지 요인 중에서 씹기 능력과 관련된 요인은 뇌성마비의 유형, 중증도, 비정상적 구강반사, 그리고 경기력으로 밝혀졌다. 특히, 유형 중에서는 경직형 사지마비와 혼합형만이씹기 능력과의 관련성이 나타났다. 또한, 비정상적 구강반사 중에서 혀 떠밀기와 긴장성 물기반응이 씹기 능력과 연관이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어떠한 요인들이 씹기 능력에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관련 변인들의 평가를 통하여 씹기 능력을 예측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임상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살펴본 변인들이 뇌성마비의 유형이나 중증도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또 다른 의의를 찾을수 있다. 앞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뇌성마비 아동의 씹기와 관련된 다양한 후속연구들이 진행되길 기대해본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are expected to have different chewing patterns from normal children due to the abnormal movements of their jaw, lips and tongue. Abnormal chewing is closely connected with six factors: CP type, severity, abnormal oral reflex (e.g., tongue thrust), oral paresthesia, seizure history, and cognitive ability. This study investigates which of these factors are related to the chewing ability of children with CP. Methods: We identified 65 types of CP as well as their severity based on patient medical records when the level of GMFCS had been recorded. In other cases, a physical therapist assessed the children directly. Abnormal oral reflexes, oral paresthesia, seizure history, cognitive ability, and chewing ability were directly assessed. Results: Among the six factors considered, the factors that affected chewing ability were the type of CP, severity, abnormal oral reflex and seizure history. Among the CP types, only spastic quadriplegia and the mixed type were related to chewing ability. In addition, tongue thrust and tonic bite reaction were other related factors.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 us predict the chewing ability of CP patients by investigating related factor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examine how the factors differ according to the types or the severity of CP. Subsequent studies on the chewing of CP patients based on this study are need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명수(Myung Soo Choi),김향희(HyangHee Kim),김덕용(Deog Young Kim),박은숙(Eun Sook Park). (2009).뇌성마비 아동의 씹기 능력 관련 요인.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4 (1), 117-127

MLA

최명수(Myung Soo Choi),김향희(HyangHee Kim),김덕용(Deog Young Kim),박은숙(Eun Sook Park). "뇌성마비 아동의 씹기 능력 관련 요인."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4.1(2009): 117-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