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米芾.董其昌 行草書風의 유행

이용수 631

영문명
The styles and fashions of Mi Fu and Tung Ch'i-ch'ang's running and cursive scripts in the Late Chosun Period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서승례(Suh Sung-Lye)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6호, 83~11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3.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북송의 米芾(1051~1107)과 명의 董其昌(1555~1636)은 중국 서화사상 詩文과 書畵에 뛰어났던 대표적인 문인이다. 특히 서예에서는 魏晉古法을 위시한 역대의 고풍에 대한 이해를 확대시켰으며, 회화에서는 문인화가 지향할 바를 제시하여 그들의 서화론과 작품은 명말 이래 중국과 조선후기 서화사에 다대한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조선후기 서화사의 전반적 이해를 위해서는 미불․동기창 서예가 수용된 초기단계와 이후의 유행상황에 관해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그러나 당시의 서화교류를 살필 수 있는 書畵蹟이 많이 남아있지 않으므로 그 시기에 활동했던 인사들의 개인문집 등에서 역대 筆蹟의 수용기록을 찾아보고 이들의 극히 단편적인 기록을 통해 미불․동기창 서풍의 수용을 유추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18세기 이후 미불․동기창의 행초서풍이 어떻게 유행했는지 당시 명서가들의 작품을 통해 살펴보고자하였다. 먼저 17세기 이래 조선에 전래된 송‧원‧명대 필적에 관해 조사해 본 결과, 明代 文人書畵의 조선유입 관련 기사는 壬亂을 겪으며 明과의 관계가 긴밀해지면서부터 나타난다. 사신의 왕래를 통해 상당수의 서화가 유입되었고, 이미 동기창 생존시에 그의 필적이 조선에 유입되기도 했다. 그러나 당시 조선문인들은 명대 문인서화를 개념적 입장에서 보지 않고 역대 문인서화에 대한 연장의 입장에서 수용했다. 명청교체기에 이르러 동기창의 서화에 대한 이해는 심양에 다녀온 일부인사에 한정된 것으로 보여지며, 이들을 통해 조선문인들의 이해는 점차 확대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아직 동기창의 서화론에 대한 적극적 인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청관계가 정상화되고 양국간의 왕래가 점차 자유로워지자 이후 조선에는 상당량의 중국서화가 전해졌다. 특히 18세기 초에는 南北二宗論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동기창의 서화론에 대한 인식도 확산된 걸로 추정된다. 아울러 동기창의 서론을 통해 미불의 서예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커지면서 米帖도 함께 유입 되었고, 이에 따라 미불․동기창의 서예에 대한 수용 폭도 점차 넓어졌다. 尹淳(1680~1741)은 고법에 바탕을 두면서도 당‧송‧원‧명의 역대 글씨를 두루 구사했는데, 특히 행초서에서 미불 서풍을 적극 수용했으며 후년에는 동기창의 행초서풍을 수용한 예도 보인다. 이러한 윤순의 米芾愛好와 董風受容은 이후 18세기 서화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는데 李匡師(1705~1777)를 비롯하여 姜世晃(1713~1791)․曺允亨(1725~1799) 등에 의해 다양하게 변모되어 갔고, 특히 申緯(1769~1847)가 그의 동기창 서풍을 적극 수용했다. 이와 같이 조선후기에 있어 미불․동기창 서풍은 초기의 수용단계에서는 明代文化의 계승이라는 이념적 가치 아래 명대를 비롯한 역대서화를 특별한 기준이나 의식 없이 전반적으로 수용한 측면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다가 18세기 이후의 전파‧유행단계에 이르러서는 남종문인화에 대한 실제적이고 본격적인 이해가 확산되고 점차 수용되면서 조선서화계에 남종화론이 정착화되는 양상을 보였고, 이런 점에서 동기창‧미불 등의 행초서풍이 확산되고 조선적 토양 위에 토착화되었던 단계라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Mi Fu(1051~1107) and Tung Ch'i-ch'ang(1555~1636) are the representative calligraphers in Northern Sung and Ming dynasty respectively, who are well-known by their great excellency in calligraphy, painting and literatures. Especially, they expanded the understanding of previous calligraphic styles and proposed the future trends of art painting. Subsequently, Mi Fu and Tung Ch'i-ch'ang gave the deep impact on the calligraphy in the late Chosun period. This article describes the acceptance and influence of Mi Fu and Tung Ch'i-ch'ang's calligraphy style to understand the calligraphic history in the late Chosun period. For this, transfer process of their style to Chosun and influence to calligraphy in late Chosun period have been analyzed systematically even though almost none exists in these days. Firstly, it was reviewed chronologically how the acceptance of Mi Fu and Tung Ch'i-ch'ang's calligraphy was processed in the understandings of the late Chosun's calligraphers. According to the survey of calligraphic specimens of Sung․Wen․Ming dynasty, which were delivered to late Chosun, inflow of writings and paintings of Ming dynasty began from Japanese Invasion to Korea(1592) through the diplomatic channels. While Tung's calligraphy was delivered to Chosun during his lifetime, Mi's calligraphy was not found until early 18th century. The artists of Chosun were so interested in Tung's calligraphy and they even had sense to discriminate the forgery. Especially, as the understanding of ‘Northern and Southern School Theory’ and ‘Southern School’ landscape paintings spread widely during the early 18th century, the writings and paintings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were so popular in those days. Through the acceptance of Tung's calligraphy, Mi's calligraphy was known in the society of Chosun calligraphers and the Mi's calligraphic specimens could be found from that days. Secondly, it was analysed how styles and fashions of calligraphy in the late Chosun period were progressed on the basis of Mi Fu and Tung Ch'i-ch'ang's calligraphy. Yun Sun(1680~1741) was the typical calligrapher who accepted various Chinese calligraphic styles in the early 18th century. His style was based on the old-styles such as Wang Hsi-chih and was skillful in the writings of T‘ang․Sung․Wen․Ming dynasty, specially accepted Mi's style in running and cursive scripts and was master of Tung's style in the same scripts late in life. This kind of Yun Sun's fashion has greatly influenced the many calligraphers in 18th century such as Yi Kwang-sa(1705~1777), Yun's famous disciple, Kang Se-hwang(1713~1791) and Cho Yun-hyeong(1725~1799). In addition, his acceptance of Tung's style spread widely to famous calligraphers in the early 19th century, typically to Shin Wi(1769-1847). Afterward, many artists, not only calligraphers but painters, enjoyed Mi and Tung's fashion. In the early stage of acceptance, Chinese calligraphy containing that in Ming dynasty was accepted generally without any special standards and consciousness under the conceptual values of succession of Ming's culture. Later, as the actual and real understandings of ‘Southern School literati painting’ spread and accepted widely, ‘Southern School Theory’ settled down in the artist society of Chosun, thus the style and fashion of Mi and Tung was popularized as a native standard.

목차

I. 緖論
II. 宋․元․明代 筆蹟의 전례
III. 米芾․ 董其昌行草書風의 유행
IV. 結 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승례(Suh Sung-Lye). (2005).조선후기 米芾.董其昌 行草書風의 유행. 서예학연구, (6), 83-115

MLA

서승례(Suh Sung-Lye). "조선후기 米芾.董其昌 行草書風의 유행." 서예학연구, .6(2005): 83-1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