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빈곤여성가장의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디스트레스간의 관계

이용수 1154

영문명
The Study on the Mediational Effects of Hope :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Distress of the Low-income Single Mother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김지혜(Kim Ji-Hye) 성정현(Sung Jung-Hyun)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2집 1호, 65~9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3.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빈곤여성가장의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디스트레스 감소간의 관계에서 희망이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사호1 적 지지와 희망, 심리적 디스트레스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2005 년에 근로빈곤여성가장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여성노동자회 주관으로 복권기금으로 친행되는 간병 사회적 일자리,비공식부문의 가사서비스 조직인 전국가정관리사협회, 여성노조에 조직되어 있는 비정규직 여성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원자료이다 당시 조사대상자는 총 1006 영이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30 대부터 50 대인 여성만을 포함하여 층 952 영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각 잠재변인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사회적 지지와 희망간에는 정적인 관계가 나타났고, 희망과 심리적 디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디스트레스’는 부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방정식의 방법을 활용한 분석 결과에서는 희망이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유형에 따른 독립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동일한 구조 모형들을 분석한 결과, 정서적 지지. 도구적 지지, 정보적 지지와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희망이라는 심리적 자원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항을 미치며, 희망 또한 사회적 지지를 통해 촉진됨을 의미한다,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자원(희망) 및 종속 변인(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대한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지지의 기능 및 역할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주었으며, 빈곤여성가장에게 희망의 증진이 긍정적 결과물을 가져온다는 점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이러한 희망을 촉진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인임을 밝혔다는 접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지지를 통해 희망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심리 • 정서 프로그램이나 도구적 • 정보적 지지와 같은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집단 형태의 자조모임 • 소모임의 형태가 적절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onal effects of the low-income single mother's hope in the process of social support to decrease of psychological distress. For this purpose, the structural equation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upport, hope,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this study. We use data that were surveyed to describ the working poor mother's life situations in 2005. The cases are 1006.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here a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upport and hope and there are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social support, hope and psychological distress. Second, in the structural equation’s analysis, the hope mediate perfectly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distress. So, it is testified that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is mediated indirectly and facilitated through psychological resource as hope. This study clarify that the social support is very important to facilitate the hope of working poor mothers, and expand the width of understanding of social support's role and function. Finally, we discuss the necessities of the psychological programs, informational and instrumental services and self-support group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혜(Kim Ji-Hye),성정현(Sung Jung-Hyun). (2010).빈곤여성가장의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디스트레스간의 관계. 가족과 문화, 22 (1), 65-93

MLA

김지혜(Kim Ji-Hye),성정현(Sung Jung-Hyun). "빈곤여성가장의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디스트레스간의 관계." 가족과 문화, 22.1(2010): 65-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