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의적 특성 검사 자료 분석을 위한 문항반응모형 탐색

이용수 548

영문명
Item response models for analyzing affective testing data : Generalized graded unfolding model versus generalized partial credit model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강태훈(Taehoon Kang) 김동일(Dongil Kim)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23권 제1호, 149~17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3.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의적 특성 검사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일반화등급전개모형과 일반화부분점수모형을 적용하고 결과를 제시하였다. 일반화부분점수모형과 같은 전통적 다분문항반응모형은 지능이나 학업성취도 등의 인지적 특성과 태도와 같은 정의적 특성을 재는 검사 결과 분석에 있어서도 널리 사용되었다. 인지 검사 문항에 대한 피험자의 응답은 흔히 누적 기제를 따르는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하지만 태도 및 성격 등과 같은 정의적 특성 관련 검사에 있어서는 검사 문항에 대한 피험자의 응답이 누적 기제가 아닌 전개 기제를 따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일반화등급전개모형과 같은 대안적 문항반응모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모형에 대한 이론적 소개와 함께 실제 인터넷 중독 진단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은 분석이 실시되었다. 우선 모형 각각에 대하여 AIC, BIC, 그리고 DIC 등의 통계적 모형 선택 지수를 계산하여 통계적으로 보다 적절한 문항반응모형이 무엇인지 살펴보았고, 추가로 문항별 통계적 적합도 검증을 실시하여 문항 수준에서의 모형 적합도를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전개 기제 문항반응모형의 적용 의의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ighligh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generalized graded unfolding model and the generalized partial credit model in analyzing affective testing data. The latter is one of traditional polytomous item response models that have widely used for the purpose of data analysis of affective testing as well as cognitive testing. Although it could be usually assumed the examinees' responses to cognitive testing items follow cumulative mechanisms, unfolding mechanisms could excel in the responses to affective testing items. At that moment, an alternative model implying the concept of unfolding would be required. This study introduced various polytomous item response models and applied them to the actual data of internet addiction diagnosis scale. To compare the performances of such models, the model selection indices such as AIC, BIC and DIC were calculated. Also, assessing the item fit was carried out to check the appropriateness of each model for the given data. Finally, the meaning of applying an unfolding item response model to affective testing data was further discuss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태훈(Taehoon Kang),김동일(Dongil Kim). (2010).정의적 특성 검사 자료 분석을 위한 문항반응모형 탐색. 교육평가연구, 23 (1), 149-170

MLA

강태훈(Taehoon Kang),김동일(Dongil Kim). "정의적 특성 검사 자료 분석을 위한 문항반응모형 탐색." 교육평가연구, 23.1(2010): 149-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