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행물과 청소년 윤리
이용수 7
- 영문명
- The publication and Ethic of the Youth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 저자명
- 구현서(Chu, Hyen-Sea)
- 간행물 정보
- 『생명연구』제1집, 209~248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3.03.2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an is a social animal, who is learned the way to live by the education and tradition of society. nowadays mass-media has the great influence on our consciousness and activity because of its excellent effect of transmission.
When we consider various instances of juvenile delinquency, most of the negative events accompanied by sex and violence are caused by the distorted fluence to massamedia. For it is transmitted to them without filtering. Further we can't overlook that the content of massmedia is related to the industry of enjoyment which make money by producing sex on a commercial scale. The proper role of massmedia in informationized society is to furnish us with useful information.
But on the one hand, if massmedia transmits directly the reality of sex and violence without filtering, it does incurable harm to human mentality. Further, if it is transmitted repeatedly information on crime and violence by Massmedea, it is worried over insensibilization about it. What comes into question is the fact that these pheonomena extend to younger generation as well as adults.
On the other hand, though massmedia may not embellish sexual crime and violence, readers, or viewers, little by little become insensible while uncritically reflected without value - judgement and treated merely for amusement or too much real. This make increase insensible men who don't feel guilty while committing a crime.
Ethic of massmedia begins from not 'what should do with', but 'how to do with it', because it is expression of attitude regarding to moral sense of the persons concerned massmedia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massmedia and press.
To live a life worth of man, we must have at leat intelligence to control material desire. Modern society, however, degrades to be threatened our existential life because materialistic value becomes superior standard but spiritual value falls down inferior standard.
How to protect the youth from the degraded pubilcation reinforces the law and penalty so as to block radically it's publication, and it should be established the law restricting selling besides special place or reader.
The problem of lewdness and decadence can be solved by the reformation of our consciousness as recipient as well as that massmedia. Therefore it is required urgently education of the value or moral for judgement media-recipient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족의 기능과 위기
- 「생명에 대한 사회의식조사」논평_강성위
- 오늘에 되새기는 한국인의 무속적 죽음
- 간행물과 청소년 윤리
- 文學과 生命
- 「생명에 대한 사회의식조사」논평_문옥륜
- '腦死'
- 토마스 아퀴나스의 생명관
- 의학적 측면에서 본 인간생명
- 時로 읊어진 생명
- 성찬경 교수의 「문학과 생명」에 대한 논평
- 「생명에 대한 사회의식조사」논평_한흥순
- 정인재 교수의 논평에 대한 답변
- W.Bueche교수의 「뇌사(Brain Death)」에 대한 논평
- 구중서 교수의 「自然과 리얼리즘」에 대한 논평
- 맹광호 교수의 「의학적 측면에서 본 인간생명」에 대한 논평
- 고등교육에서의 생명교육
- 논평자의 질의에 대한 답변
- 「생명에 대한 사회의식조사」
- 정병조 교수의 「佛敎의 生死觀」에 대한 논평
- 진교훈 교수의 「철학에서 본 생명」에 대한 논평
- 生命論의 단초를 어느 次元에 둘 것인가?
- BRAIN DEATH The Moral Implications of Adopting Brain
- 「생명에 대한 사회의식조사」논평_김영복
- W.Bueche교수의 「뇌사(Brain Death)」에 대한 논평
- W.Bueche교수의 「뇌사(Brain Death)」에 대한 논평
- 「생명에 대한 사회의식조사」논평_김종서
- 맹광호 교수의 「의학적 측면에서 본 인간생명」에 대한 논평
- 김남조 교수의 「詩로 읊어진 생명」에 대한 논평
- 박종대 교수의 논평에 대한 답변
- 김열규 교수의 「오늘에 되새기는 한국인의 무속적 죽음」에 대한 논평
- 自然과 리얼리즘
- 진교훈 교수의 「철학에서 본 생명」에 대한 논평
- 「생명에 대한 사회의식조사」논평_김욱곤
- 「생명에 대한 사회의식조사」논평_공종원
- 佛敎의 生死觀
- 「생명에 대한 사회의식조사」논평_정창기
- 가정의 본질
- 생명에 대한 사회의식 조사
- 哲學에서 본 生命
- 「생명에 대한 사회의식조사」논평
- 「생명에 대한 사회의식조사」논평
- 自然生命과 道德生命
- 「생명에 대한 사회의식조사」논평_김연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Cultural Integration and Innovation in Music Composition - Taking the First Movement of Bao Yuankai's Symphony No. 6 <Yanzhao> as An Example
- Really, Is it just “Backwards”?—Reevaluating Adorno's Multifaceted Analysis of Stravinsky
- Artistic Innovation:The Construction of Virtual Spaces in 2D Fantasy Film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