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간질에 의한 Mongolian gerbil 줄무늬체에서의 미세관 관련 단백질들의 변화

이용수 30

영문명
Seizure Induced Alteration of Microtubule Associated Proteins Immunoreactivities in the Mongolian Gerbil Striatum
발행기관
대한해부학회
저자명
안성진(Sung-Jin An) 박승국(Seung-Kook Park) 황인구(In-Koo Hwang) 원무호(Moo Ho Won) 강태천(Tae-Cheon Kang)
간행물 정보
『대한해부학회지』제35권 제5호, 411~418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10.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유전적인 간질 모델 중에 하나인 gerbil의 줄무늬체에서 미세관 관련 단백질 1A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1A, MAP1A)와 미세관 관련 단백질 2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2, MAP2) 면역반응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정상군의 경우, MAP1A 면역반응성은 줄무늬체의 꼬리-조가비핵의 신경세포체에서 미약하게 관찰된 반면, 간질전 군 (pre-seizure group)에서는 신경세포체 및 신경가지에서 강하게 관찰되었다. 그러나, 간질발작 30분 후에는 신경세포체의 MAP1A 면역반응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간질발작 3시간 후에는 정상군과 유사한 반응성을 나타내었다. MAP2 면역반응성은, MAP1A의 경우와 유사하여, 정상군에 비해 간질전군에서 강한 염색성을 나타내었다. 간질발작 30 분 후에는 신경세포체 및 신경망에서의 MAP2 면역반응성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간질발작 3시간 후에는 매우 미약한 MAP2 면역반응성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MAP1A 및 MAP2 면역반응성의 감소는 간질발작 12시간 후에 모두 간질전군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간질군에서 MAPs 면역반응성의 증가 및 간질발작에 따른 MAPs 면역반응성의 감소는 줄무늬체에서의 MAPs 발현의 변화는 간질발작과 매우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간질군에서의 MAPs 면역반응성의 변화는 간질발작에 의한 신경세포손상을 복구하기 위한 일종의 보상작용으로 추측된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involves a chronological and comparative analysis of both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1A (MAP1A) and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2 (MAP2) immunoreactivities in the striatum of both seizure resistant (SR) and seizure sensitive (SS) gerbil. The MAP1A immunoreactivity is weakly detected in perikarya of SR gerbils. However, MAP1A immunoreactivity is more accumulated in perikarya and dendrites in the pre-seizure group. At 30 min postictal, MAP1A immunoreactivity in the perikarya is decreased. At 3 hr postictal, MAP1A immunoreactivity in perikarya and dendrites is similarly decreased to the level of SR gerbils. The MAP2 immunoreactivity is weakly detected in the perikarya and dendrites of SR gerbils. However, MAP2 immunoreactivity is more accumulated in perikarya and dendrites. In particular, the neuropil between unstained fiber tracts obviously contains strong MAP2 immunoreactivity. At 30 min postictal, MAP2 immunoreactivity isn’t almost observed in striatum. At 3 hr postictal, the MAP2 immunoreactivity is not different in the 30 min post-seizure groups but is only observed in the neuropil. However, at 12 hr postictal, the decrease of both MAP1A and MAP2 immunoreactivities had recovered to the pre-seizure level of SS gerbi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Ps immunoreactivity in the striatum is different in SR and SS gerbils, and that this difference may be the results of seizure activity in this animal.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성진(Sung-Jin An),박승국(Seung-Kook Park),황인구(In-Koo Hwang),원무호(Moo Ho Won),강태천(Tae-Cheon Kang). (2002).간질에 의한 Mongolian gerbil 줄무늬체에서의 미세관 관련 단백질들의 변화. 대한해부학회지, 35 (5), 411-418

MLA

안성진(Sung-Jin An),박승국(Seung-Kook Park),황인구(In-Koo Hwang),원무호(Moo Ho Won),강태천(Tae-Cheon Kang). "간질에 의한 Mongolian gerbil 줄무늬체에서의 미세관 관련 단백질들의 변화." 대한해부학회지, 35.5(2002): 411-4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