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흰쥐 대뇌피질에서 아드레날린성 수용체의 개체발생에 관한 자기방사법적 연구

이용수 22

영문명
Quantitative Autoradiography on Ontogenic Development of α-Adrenoceptor in the Rat Cerebral Cortex
발행기관
대한해부학회
저자명
이명곤(Myoung Kon Lee) 이승원(Seung-Won Lee) 국지현(Ji Hyun Kook) 정윤영(Yoon Young Chung) 이은주(Eun Joo Lee) 김종근(Jong-Keun Kim) 배춘상(Choon Sang Bae)
간행물 정보
『대한해부학회지』제32권 제5호, 749~760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9.10.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아드레날린성 수용체는 아드레날린 및 노어아드레날린에 대한 반응을 매개한다. 흰쥐 대뇌피질 (대뇌겉질)에 분포하는 두가지 α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즉 α1-수용체, α2-수용체의 생후 발달 과정을 관찰하기 위하여 생후 0일, 5일, 10일, 15일, 20일, 30일과 생후 90일의 전두피질 (이마겉질), 두정피질 (마루겉질) 및 측두피질 (관자겉질)에서 α1-아드레날린성 수용체는 길항제인 [3H]-prazosin을, α2-아드레날린성 수용체는 길항제인 [3H]-rauwolscine을 사용하여 결합 밀도를 자기방사법으로 관찰하였다. 비특이적 결합을 측정하기 위하여 표지가 안된 phentolamine과 yohimbine을 각각 첨가하여 측정하였다. α1-수용체는 생후 0일에는 대뇌피질에 영역과 층에 관계없이 1039 dpm/mg로 표지되었고, 5일에는 피질 모든 영역에 α1-수용체가 증가하였는데 I층 및 VI층과 백질의 경계부에서 밀도가 높았으며, 생후 10일 부터 V층에서 II-IV층이나 VI층보다 결합밀도가 높은 층판상 소견을 보였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밀도가 증가하다가 20일에 최고치에 이르렀고 성숙 대뇌 피질에서는 약간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운동영역인 전두피질이 가장 높았으며, 측두피질, 두정피질의 순서로 밀도가 높았다. α1-수용체는 모든 피질 영역에서 V층이 가장 높게 표지되었고 II-IV, VI층의 순으로 표지되었다. α2-수용체는 대뇌피질 전층에서 거의 균일하게 표지되었다. 생후 0일에는 606 dpm/mg 표지되었고 점차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α2-수용체의 결합밀도가 점차 증가하였으나 α1-수용체 보다는 밀도가 낮았으며 α2-수용체는 측두피질, 두정피질, 전두피질 순으로 높게 표지되었다. 이상의 성적을 요약하면 두가지 α-아드레날린 수용체는 출생한 날부터 생후 3~4주 동안에 전체적으로 발현이 증가하다 가 성숙 쥐에서는 약간 감소하였다. 두가지 α-아드레날린 수용체는 생후 발달과정에서 매우 다른 발현 양상을 보였다. 즉 α1-수용체는 피질 영역과 층에 따라 다르게 발현되었으나, α2-수용체는 피질영역과 층에 관계없이 균일하게 발현되었다. 이런 소견은 생후 발달과정에 대뇌 피질의 발달이나 기능을 조절하는데 α1-수용체가 α2-수용체보다 밀접하게 관계하고 있음을 암시하였다.

영문 초록

Adrenoceptors mediate response to catecholamines throughout the body. To investigate postnatal ontogenic development of α1- and α2- adrenoceptors in the rat cerebral cortex, in vitro autoradiography was done on frontal, parietal and temporal cortex in P0, P5, P10, P15, P20, P30 and adult animals. Binding sites for the α1-adrenergic receptor ligand, [3H]-prazosin, and the α2-adrenergic receptor ligand, [3H]-rauwolscine, were visualized by in vitro autoradiography, and anatomically localized by comparing the autoradiogram to Nissl-stained sections. Nonspecific binding was detected with unlabeled phentolamine (α1) and yohimbine (α2). There is uniform increase in α1- and α2- adrenoceptors from birth through first three or four postnatal weeks, followed by a decrease to adult level. Two α-adrenoceptors have very different ontogenic patterns of distribution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α1- adrenoceptors were expressed differentially in different cortical (frontal, temporal, parietal) regions and in different cortical layers (layers V, II-IV, VI) at same age. α2- adrenoceptor was expressed homogenously in throughout regions and layers. These findings may provide evidence that α1- adrenoceptors are involved in regulating cortical development or function more specifically than α2- adrenoceptors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명곤(Myoung Kon Lee),이승원(Seung-Won Lee),국지현(Ji Hyun Kook),정윤영(Yoon Young Chung),이은주(Eun Joo Lee),김종근(Jong-Keun Kim),배춘상(Choon Sang Bae). (1999).흰쥐 대뇌피질에서 아드레날린성 수용체의 개체발생에 관한 자기방사법적 연구. 대한해부학회지, 32 (5), 749-760

MLA

이명곤(Myoung Kon Lee),이승원(Seung-Won Lee),국지현(Ji Hyun Kook),정윤영(Yoon Young Chung),이은주(Eun Joo Lee),김종근(Jong-Keun Kim),배춘상(Choon Sang Bae). "흰쥐 대뇌피질에서 아드레날린성 수용체의 개체발생에 관한 자기방사법적 연구." 대한해부학회지, 32.5(1999): 749-7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