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작열통모델 흰쥐의 등쪽뿌리신경절 및 척수에서 α2-아드레날린 수용체 유전자발현의 변화

이용수 38

영문명
Changes in the α2-Adrenergic Receptor Subtypes Gene Expression in Rat Dorsal Root Ganglion and Spinal Cord in an Experimental Model of Neuropathic Pain
발행기관
대한해부학회
저자명
이남혁(Nam-Hyuk Lee) 김동선(Dong-sun Kim) 김정기(Jeong-Ki Kim) 김광진(Kwang-Jin Kim) 조희중(Hee-Jung Cho)
간행물 정보
『대한해부학회지』제31권 제6호, 861~869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8.12.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말초신경이 손상을 입었을 때 교감신경계가 어떠한 기전에 의하여 작열통을 유발시키는지 확실히 알려진 바는 없지만, 아마도 α-아드레날린 수용체 (α-adrenergic receptor, α-AR)를 매개로 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흰쥐의 DRG 및 척수에서 α2A, α2B 및 α2C-AR mRNA의 분포를 in situ hybridization (ISH)기법으로 관찰하고 L5, 6 척수신경을 결찰한 작열통모델 흰쥐의 α2A, α2B 및 α2C-AR mRNA의 양적변화를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법으로 관찰하여 다음의 결과들을 얻을 수 있었다. 1. 정상군의 ISH 결과, DRG의 작은, 중간 그리고 큰신경세포들에서 α2C-AR mRNA가 발현되었고 α2A-AR mRNA는 전체 신경세포의 16%에서 발현되었으며 주로 중간 및 큰세포에 분포하였다. 한편 α2B-AR mRNA의 발현은 관찰되지 않았다. 척수에서는 α2A-AR mRNA의 경우 등쪽뿔의 제 II, III층의 신경세포와 배쪽뿔의 운동신경세포에서 주로 관찰되었다. α2B-AR mRNA함유 신경세포는 관찰할 수 없었으며 α2C-AR mRNA는 배쪽뿔의 운동신경세포에서 주로 관찰되었다. 2. 결찰군에서 RT-PCR 결과, 결찰측의 L5, 6 DRG에서는 α2A-AR mRNA가 반대측 및 Sham군의 DRG의 그것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α2C-AR mRNA의 경우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L5 및 L6 척수의 결찰측은 반대측이나 Sham군의 척수에 비하여 α2A, α2B, 및 α2C-AR mRNA의 발현에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들에 의하면 DRG에 분포하는 α2A 및 α2C-AR는 말초신경 손상후 교감신경 의존성의 작열통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척수의 α2-AR는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While the pathophysiological mechanism by which sympathetic nervous system generates neuropathic pain is not clear, it is thought to involve an α-adrenergic receptor (AR). In the present experiment, we have elucidated the distribution of α2-AR subtypes mRNA in the DRG and spinal cord of normal rat with in situ hybridization (ISH) and analyzed changes in their expression in an experimental model of neuropathic pain with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majority of small, medium and large DRG neurons of non-operated rats expressed α2C-AR mRNA. α2A-ARexpressing neurons were primarily medium-sized and large, comprising about 16% of the total neurons present. α2BAR-expressing neurons were not identified. In the spinal cord, α2A-AR mRNA were localized in neurons of lamina II and III, and large motor neurons in the ventral horn. α2C-AR mRNA was found in large motor neurons. 2. In the ligated animals, RT-PCR results showed that α2A-AR mRNA levels in L5, 6 DRGs on the ipsilateral sid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alateral sides and also to those of sham-operated rats. α2C-AR mRNA levels showed a marked decrease in ipsilateral L5, 6 DRGs. In the spinal cord, there was no detectable changes in α2A- and α2C-AR mRNAs levels.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α2A- and α2C-ARs in the DRG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generating sympathetically maintained neuropathic pain and that α2-AR in the spinal cord seems not to be involv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남혁(Nam-Hyuk Lee),김동선(Dong-sun Kim),김정기(Jeong-Ki Kim),김광진(Kwang-Jin Kim),조희중(Hee-Jung Cho). (1998).작열통모델 흰쥐의 등쪽뿌리신경절 및 척수에서 α2-아드레날린 수용체 유전자발현의 변화. 대한해부학회지, 31 (6), 861-869

MLA

이남혁(Nam-Hyuk Lee),김동선(Dong-sun Kim),김정기(Jeong-Ki Kim),김광진(Kwang-Jin Kim),조희중(Hee-Jung Cho). "작열통모델 흰쥐의 등쪽뿌리신경절 및 척수에서 α2-아드레날린 수용체 유전자발현의 변화." 대한해부학회지, 31.6(1998): 861-8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