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직장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보조 화학요법과 보조 화학방사선 병용요법
이용수 21
- 영문명
-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and Chemoradiation for Rectal Cancer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종양학회
- 저자명
- 이강규(Kang Kyoo Lee) 박경란(Kyung Ran Park) 이익재(Ik Jae Lee) 김익용(Ik Yong Kim) 심광용(Kwang Yong Sim) 김대성(Dae Sung Kim) 이종영(Jong Young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제20권 제4호, 334~342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종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AJCC 병기 Ⅱ기와 Ⅲ기의 국소진행성 직장암으로 근치적 절제술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각 병기에서 보조 화학요법 단독에 비해 화학방사선 병행요법이 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을 향상시키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AJCC 병기 Ⅱ기와 Ⅲ기의 직장암으로 근치적 절제술이 시행된 1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보조 치료방법에 따라 분류를 하면 화학요법 단독군이 72명이었고, 화학방사선 병행용법군은 72명이었다. 화학요법은 수술 후 UFT를 매일 경구복용하거나 (중앙값 12개월) 5-FU를 기초로 한 항암제를 4주 간격으로 정맥주사하였고, 투여기간은 1~18차례 (중앙값 6차례)이였다. 방사선치료는 직장과 골반 내 영역 림프절 영역에 4,500 cGy를 조사한 후 수술 부위에 540~1,440 cGy (중앙값 540 cGy) 추가조사를 시행하였다. 추적관찰 기간은 20~150개월로 중앙값은 44개월이었다.
결과 : 5년 생존율은 화학요법 단독군과 화학방사선 병행요법군에서 각각 60.9%와 68.9% (p=0.0915)였고, 5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56.1%와 63.8% (p=0.3510)로 두 군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병기별로 분석하였을 때 Ⅱ기에서의 5년 생존율은 화학요법 단독군이 71.1%, 화학방사선 병행요법군은 92.2%로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379), 5년 무병생존율에서는 화학요법 단독군이 57.3%, 화학방사선 병행요법군은 85.4%로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482). Ⅲ기에서는 5년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이 화학요법 단독군에서는 52.0%와 47.8%였고, 화학방사선 병행요법군에서는 55.0%와 49.8%로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4280, p=0.7891). 국소재발율은 화학요법 단독군이 16.7%, 화학방사선 병행요법군은 12.5%였고, 원격 재발율은 화학요법 단독군이 25.0%, 화학방사선 병행요법군은 26.4%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Ⅱ기에서 보조 화학요법에 방사선치료를 병행함으로써 보조 화학요법 단독 치료시와 비교하여 생존율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못했지만 국소재발율의 감소를 보였다.
영문 초록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CT) alone and concurrent chemoradiation (CCRT), following radical surgery, improved the disease free survival (DFS) and overall survival (OS) in rectal cancer AJCC stage Ⅱ and Ⅲ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 A total of 144 patients with AJCC stage Ⅱ and Ⅲ rectal cancer who had had radical surgery between 1989 and 1999 were include in the study. Of these patients, 72 had been treated with postoperative CT, and the other 72 with postoperative CCRT. The chemotherapy regimen consisted of oral UFT on a daily basis for 1~12 months (median 12 months) or 5-FU (500 mg/㎡ for 5 days) intravenous (Ⅳ) chemotherapy with 4 week intervals for 1~18 cycles (median 6 cycles). Radiation of 4,500 cGy was delivered to the surgical bed and regional pelvic lymph nodes area, followed by 540~1,440 cGy (median 540 cGy) boost to the surgical bed. The follow-up period ranged from 20 to 150 months, with a median of 44 months.
Results : The 5-year OS was 60.9% and 68.9% (p=0.0915), and the 5-year DFS was 56.1% and 63.8%(p=0.3510) for postoperative CT and postoperative CCRT, respectively. In the stage Ⅱ patients, the 5-year OS was 71.1% and 92.2%, and the 5-year DFS was 57.3% and 85.4% for postoperative CT and CCRT respectively. The OS was significantly improved (p=0.0379) but the DFS was not with postoperative CCRT compared to the postoperative CT (p=0.1482). In the stage Ⅲ patients, the 5-year OS was 52.0% and 55.0%, and the 5-year DFS was 47.8% and 49.8% for postoperative CT and postoperative CCR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ostoperative CT and CCRT (p=0.4280 and p=0.7891) in OS and DFS. The locoregional relapses were 16.7 and 12.5% for postoperative CT and CCRT, respectively. The distant relapses were 25.0% and 26.4% for postoperative CT and CCRT, respectively.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ed that postoperative CCRT compared with CT alone improved OS in stage Ⅱ patients.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addition of postoperative RT to CT reduced locoregional relapses compared to CT alon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기적 정도관리를 위한 One Click Film (OCF) 선량측정 시스템
- 서울대학교병원형 방사선수술 표준기법의 중심점 선량의 오차
- 고 에너지 광자선의 표준측정법에 대한 선량 교정 프로그램 개발
- 재발성 자궁경부 편평상피암 환자들에서 Squamous Cell Carcinoma 항원의 유용성
- 식도암에서 근치적 절제술 후 방사선치료의 역할
- 자궁암의 고선량율 근접 방사선치료시 전산화 치료계획 시스템과 in vivo dosimetry system을 이용하여 측정한 직장 선량 비교
- 조기 성문암 환자에서의 방사선치료
- Radiation Therapy Alone for Early Stage Non-small Cell Carcinoma of the Lung
- Radiation Therapy for Openable Breast Cancer after Conservative Surgery
- 암 환자 삶의 질에 대한 국내 연구논문 분석
- 인체 대장암 세포주(HT-29)에서 담즙산 합청유도체(HS-1200)의 세포 사망 기전
- 직장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보조 화학요법과 보조 화학방사선 병용요법
- 국한성 두경부 대세포성(Diffuse Large Cell) 림프종의 적정 방사선 조사선량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종양학분야 BEST
- 식도암에서 근치적 절제술 후 방사선치료의 역할
- Impact of adaptive radiotherapy on survival in loca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rcinoma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 노인 두경부암 환자의 생존에 있어 노쇠의 의의
의약학 > 종양학분야 NEW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제40권 제2호 목차
- 볼지방덩이의 일측성 지방종: 증례 보고
- 소아 이하선 악성 종양의 국내 발생 추이 및 이하선 수술에 대한 단일 기관에서의 경험에 대한 후향적 분석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