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Gender Inequality in Educational Attainment in South Korea, 1950s-1990s

이용수 128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Moon-Ju Seong(성문주)
간행물 정보
『여성연구』통권 제77호, 179~20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2.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획득에 있어서 성과 출신계급 불평등을 1950년대에서 1990년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성불평등과 출신계급 불평등의 상호작용이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증명하는데 있다 21세기 현재 한국의 교육불평등을 논의할 때, 최근의 젊은 세대는 수학연수에서의 성차이가 거의 없기에 있기에 성불평등 논의의 의미성이 적을 수 있다 그러나 해방 이후부터 1990년대 초까지 교육을 받은 세대는 여성의 낮은 교육은 부정할 수 없으며, 이러한 남녀 차이를 성차이 하나의 요인만으로 분석하기에는 부족해 보인다 즉, 계급을 유지하거나 상승하기 위한 중요 수단인 교육이라는 인적 자본을 갖기 위한 계급간의 경쟁에서 가족내의 성별에 따른 자원배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단순 성차이 분석으로는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가족내의 성별에 따른 교육기회불평등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과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성불평등을 가족배경과 연관하여 한국노동연구원의 1998년 임금노동패널(KLIPS) 자료를 이용하여 응답자의 아버지의 계급이 최종수학년도에 미친 영향을 OLS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아버지가 농민인 자녀들에게서 교육불평등 정도가 컸으며, 아버지가 서비스계급인 자녀들에게서 그 정도가 작은 것이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교육불평등 연구에서의 가족배경에 따라 성불평등이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gender and family background on educational attainment in South Korea during the 1950s-1990s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he interplay between gender and family backgrounds in educational attainment Previous studies tend to assume a uniform gender gap in different family backgrounds without precise analysis Conventionally, family background inequality and gender inequality in educational attainment are regarded as the results of different social mechanisms However, it is possible to observe that gender gaps may vary between family backgrounds Using the 1998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urvey data (KLIPS) this study shows that varied gender gaps exist between different family backgrounds among respondents born in 1943-1972, e g, the gap is greater for the farming class family On the other hand, a cohort analysis reveals that the interplay between gender and family backgrounds is different between birth cohorts There is a uniform gender gap among those born in 1943-1952, 1953-1962 and 1963-1972 Of note, however, respondents from service class origins in the 1963-1972 cohort show no gender gap in educational attainment The two analyses indicate that the gender inequality is closely associated with family backgrounds Hence, this study concludes that women's educational opportunities are affected not only in terms of gendered cultures, but also in terms of family's socio-economic situations in the 1950s-1990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Moon-Ju Seong(성문주). (2009).Gender Inequality in Educational Attainment in South Korea, 1950s-1990s. 여성연구, , 179-206

MLA

Moon-Ju Seong(성문주). "Gender Inequality in Educational Attainment in South Korea, 1950s-1990s." 여성연구, .(2009): 179-2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