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동시장 이행에서의 학력효과에 대한 젠더 비교연구

이용수 417

영문명
Gender Comparison in the Effect of Education on the Labor Market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저자명
성문주(Seong Moon-Ju)
간행물 정보
『여성학논집』제26집 1호, 109~13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노동시장에서의 개인적 성취에 미치는 교육효과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학력과 직업 위세의 관련성에 대한 남녀 비교조사를 연구목적으로 한다. 인적자본론에서 설명하듯이 한국사회에서 학력은 직업, 소득, 다양한 삶의 기회 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메커니즘 중의 하나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교육을 통해 획득한 인적자본이 다른 사회적불평등(성차별)을 완화시키거나 장벽을 뛰어 넘는 수단으로서는 어떤 의미를 갖는가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둔다. 노동시장 진입 후의 직업이동과 변화를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최종학교 졸업 후 생애의 첫 직업위세를 한국노동연구원의 1998년 노동패널자료를 사용하여 OLS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여성의 노동시장 진입이 제도적으로 양성평등고용정책이 없었던 1960년대 산업화 이후부터 양성평등정책 실시 초기 시점인 1990년대 초반에 학교를 졸업하고 첫 직장을 경험한 개인을 대상으로 한다. 학력을 통한 개인성취와 젠더와의 연관성 회귀분석은 최종학교 졸업 후 첫 일자리에 미친 학력효과에 대한 젠더별 차이가 학력수준별로 상이하다는 결과를 보인다. 즉 대졸 미만의 학력집단에서는 학력의 직업위세효과에서 남녀 차이가 없었지만, 대졸과 그 이상의 고학력 집단에게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높은 직업위세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존의 학력과 직업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한 걸음 나아가 학력, 직업, 그리고 젠더의 교차상호작용 분석을 통해 노동시장에서의 학력효과가 학력집단별로 상이한 젠더 차이가 있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증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human capital on the labor market outcome and gender differences in South Korea. Human capital in this study is conceptualized by obtained education—.that is, levels of education—.while the labour market outcome is represented by the first regular occupation after completing final education, using the 1998 first wave of the panel data collected by the Korean Labor Institute(KLI), and the OLS regression on the effect of education on achieving occupational prestige scores is applied. The result shows a positive effect of education on the occupational success for both men and women; the higher levels of education a person has, the more the prestigious occupation a person obtains, and impressively, the female advantage over the male on occupational success is observed. This unexpected finding, the higher occupational prestige score for women than men, particularly for those with tertiary education, and the gender feature of the positive effect of education, tells us how education, as a key element of human capital, brings occupational success for women and empowers women in the labor marke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질문과 기존 연구 흐름
Ⅲ. 분석 자료와 분석방법
Ⅳ. 분석 결과
V. 요약과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문주(Seong Moon-Ju). (2009).노동시장 이행에서의 학력효과에 대한 젠더 비교연구. 여성학논집, 26 (1), 109-134

MLA

성문주(Seong Moon-Ju). "노동시장 이행에서의 학력효과에 대한 젠더 비교연구." 여성학논집, 26.1(2009): 109-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