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혼남녀근로자의 일ㆍ가족 균형과 관련요인

이용수 1012

영문명
The work-family balance and its predictors among married employees : A gender comparison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한경혜(Han Gyoung-Hae)ㆍ장미나(Chang Mi-Na)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1집 1호, 85~11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3.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혼근로자들이 지각하는 일ㆍ가족 균형수준 및 관련요인에 있어서의 성별차이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16개의 일터에서 정규직으로 종사하는 총 688명의 기혼남녀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일ㆍ가족 균형수준과, 가족 및 작업환경 특성별 균형인식의 남녀차이를 위계회귀분석을 통하여 탐색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두 역할간의 균형감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가족과 작업환경 특성으로 구성된 본 연구모형 중 균형수준에 대한 대개의 설명력은 직업특성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중 업무량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남녀에게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무시간과 업무량, 그리고 배우자로부터의 지원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4) 남녀 간 차별적인 기제도 관찰되었는데, 직무융통성은 남성에게 그리고 직무통제감은 여성에게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주요결과에 기초하여 기혼남녀근로자가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일ㆍ가족 균형의 의미와 인식과정에서의 젠더차이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level of perceived work-family balance reported by married employees, and how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work and family are related to their perceptions of balancing the two, both in regards of gender differences. Data were gathered from 688 employees (male: 485, female: 203) working in sixteen major firms in Korea. Hierarchical regressions were conducted on perceived work-family balance using categorical independent variable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family and work, respectively) including gender interaction terms, and OLS regression was conducted on two separate models for men and women. The results were: (1) women reported to have more balanced life than men. (2) Work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contributed the most in explaining the variance of the model. (3) There were similarities as well as differences in perceived work-family balance between men and women. Among family characteristics, higher level of spouse support was associated with feeling more balanced in both groups. (4) Among work characteristics, time pattern variables such as weekly working hours and overtime work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feeling balanced in both genders. However, job flexibili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en's sense of balance, and job contro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women's. Gender differences both in the meaning of perceived balance and process of perception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findings.

목차

I. 문제제기
Ⅱ. 선행연구 고찰 및 연구문제
Ⅲ. 연구 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경혜(Han Gyoung-Hae)ㆍ장미나(Chang Mi-Na). (2009).기혼남녀근로자의 일ㆍ가족 균형과 관련요인. 가족과 문화, 21 (1), 85-115

MLA

한경혜(Han Gyoung-Hae)ㆍ장미나(Chang Mi-Na). "기혼남녀근로자의 일ㆍ가족 균형과 관련요인." 가족과 문화, 21.1(2009): 85-1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