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온라인 게임에서의 쾌락적 경험에 관한 연구 - 지각된 복잡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481

영문명
The Research on Online Game Hedonic Experience - Focusing on Moderate Effect of Perceived Complexity -
발행기관
한국마케팅과학회
저자명
Lee Jongho(李宗昊) Yunhee Jung(丁允姬)
간행물 정보
『JGAMS』Journal of Korean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18 No.2, 147~187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6.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온라인 게임에서의 경험을 설명하는 대부분의 이전 연구들이 플로우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으며, 플로우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을 밝히는데 초점을 두었다. 플로우는 온라인상의 몰입경험을 설명하는데 타당한 것으로 기존 연구에서 검증되었고 성과와 직결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변수임은 분명하지만, 쾌락적 경험으로서의 온라인 게임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는 부족하다. 이러한 기존 연구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자, 본 연구는 음악과 영화분야에서 연구된 쾌락적 반응 연구를 온라인 게임에 적용하여 온라인 게임에서의 다차원적인 경험과정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에 쾌락적 반응에 관한 연구를 보완하여 감각적 반응, 상상적 반응, 분석적 반응이 감정적 반응에 주는 영향을 검증하였으며, 플로우를 대신해 쾌락적 반응들이 게임 만족에 주는 영향, 게임 만족이 충성도에 주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쾌락적 선호를 조절하거나 매개하는 변수로 알려진 지각된 복잡성에 따른 조절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자극의 차이에 따른 쾌락적 반응의 영향차이를 보지 않았던 기존연구를 확장하였다. 연구결과, 감각적 반응, 상상적 반응, 분석적 반응의 감정적 반응에 대한 유의한 영향, 각각의 쾌락적 반응의 만족에 대한 유의한 영향, 만족의 충성도에 대한 영향이 검증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영향은 지각된 복잡성이 다른 집단 별로 달랐는데, 예상한 바대로 지각된 복잡성이 높은 집단에서는 분석적 반응이 전반적으로 강한 영향을, 그리고 낮은 집단에서는 감각적 반응이 감정과 만족에 강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 마지막에는 이러한 결과들에 대한 요약 및 해석, 시사점 및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Online game researchers focus on the flow and factors influencing flow. Flow is conceptualized as an optimal experience state and useful explaining game experience in online. Many game studies focused on the customer loyalty and flow in playing online game, In showing specific game experience, however, it doesn"t examine multidimensional experience process. Flow is not construct which show absorbing process, but construct which show absorbing result. Hence, Flow is not adequate to examine multidimensional experience of games.
  Online game is included in hedonic consumption. Hedonic consumption is a relatively new field of study in consumer research and it explores the consumption experience as a experiential view(Hirschman and Holbrook 1982). Hedonic consumption explores the consumption experience not as an information processing event but from a phenomenological of experiential view, which is a primarily subjective state. It includes various playful leisure activities, sensory pleasures, daydreams, esthetic enjoyment, and emotional responses. In online game experience, therefore, it is right to access through a experiential view of hedonic consumption.
  The objective of this paper was to make up for lacks in our understanding of online game experience by developing a framework for better insight into the hedonic experience of online game. We developed this framework by integrating and extending existing research in marketing, online game and hedonic responses. We then discussed several expectations for this framework. We concluded by discus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ing general recommendation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hedonic response research, Lacher"s research(1994)and Jongho lee and Yunhee Jung" research (2005;2006) has served as a fundamental starting point of our research. A common element in this extended research is the repeated identification of the four hedonic responses: sensory response, imaginal response, emotional response, analytic response. The validity of these four constructs finds in research of music(Lacher 1994) and movie(Jongho lee and Yunhee Jung" research 2005;2006). But, previous research on hedonic response didn"t show that constructs of hedonic response have cause-effect relation. Also, although hedonic response enable to different by stimulus properties. effects of stimulus properties is not showed.
  To fill this gap, while largely based on Lacher(1994)" research and Jongho Lee and Yunhee Jung(2005, 2006)" research, we made several important adaptation with the primary goal of bringing the model into online game and compensating lacks of previous research. We maintained the same construct proposed by Lacher et al.(1994), with four constructs of hedonic response sensory response, imaginal response, emotional response, analytical response. In this study, the sensory response is typified by some physical movement(Yingling 1962), the imaginal response is typified by images, memories, or situations that game evokes(Myers 1914), and the emotional response represents the feelings one experiences when playing game, such as pleasure, arousal, dominance, finally, the analytical response is that game player engaged in cognition seeking while playing game (Myers 1912).
  However, this paper has several important differences. We attempted to suggest multi-dimensional experience process in online game and cause-effect relation among hedonic responses. Also, We investigated moderate effects of perceived complexity. Previous studies about hedonic responses didn"t show influences of stimulus properties. According to Berlyne"s theory (1960, 1974) of aesthetic response, perceived complexity is a important construct because it effects pleasure. Pleasure in response to an object will increase with increased complexity, to an optimal level. After that, with incre

목차

〈Abstract〉
〈摘要〉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설정
Ⅲ. 연구 방법
Ⅳ. 분석과 결과
Ⅴ. 결론과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Lee Jongho(李宗昊),Yunhee Jung(丁允姬). (2008).온라인 게임에서의 쾌락적 경험에 관한 연구 - 지각된 복잡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JGAMS, 18 (2), 147-187

MLA

Lee Jongho(李宗昊),Yunhee Jung(丁允姬). "온라인 게임에서의 쾌락적 경험에 관한 연구 - 지각된 복잡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JGAMS, 18.2(2008): 147-1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