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상기의 《동국지도》 수정본 계열의 제작 과정에 대한 연구

이용수 517

영문명
A Study on Production Course of Revision Series of Donggukjido by Jeong Sangki
발행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자명
이기봉(Kibong Lee)
간행물 정보
『문화역사지리』제20권 제1호, 56~88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4.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상기의 《동국지도》에서 촉발되어 1700년대 후반에 제작된 4개의 수정본 계열이 어떤 자료에 입각하여 자세하고 정확하게 조선을 그릴 수 있었는지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아울러 지도 제작에 대한 문헌 기록과 지도 사이의 관계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4개 수정본 계열의 제작지를 추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수정본 계열의 지도(1769년 이전)는 정상기가 참고하지 못한 1리 방안의 《호서지도》, 《호남지도》, 《영남지도》, 《해서지도》, 《함경도전도》(1750년 안팎) 등의 최신 정보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제작되었다. 둘째, 〈팔로총도〉ㆍ《동역도》계열의 지도(1770년 이전)는 내륙 지역은 초기 수정본 계열과 거의 비슷한 반면 섬과 해안은 훨씬 자세하고 정확해졌다. 셋째, 1770년 신경준이 제작한 20리 방안의 군현도와 도별도는 〈팔로총도〉ㆍ《동역도》계열의 지도를 가장 중요한 바탕 지도로 사용하면서 국가가 제공한 각종 지도와 지리지 정보를 사용하여 훨씬 자세하고 정확해졌다. 넷째 초기 수정본 계열과 〈팔로총도〉ㆍ《동역도》계열의 지도는 모두 정철조가 제작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다섯째, ‘해주신본’으로 알려진 지도 계열은 정철조와 신경준의 지도 정보와 기타 자료를 사용하여 제작되었으며, 정철조의 동생인 정후조가 제작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4 revision series of Donggukjido by Jeong Sangki in late 1700s to know how they could draw Chosun more accurate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initial revision series map was made by using newest information suggested by Hoseojido, Honamjido, Yeongnamjido, Haeseojido, and Hamkyeongdojeondo. Pallochongdo and Dongyeokdo series showed similar up-country district but more correct details on islands and coastline. Map of 20-ri plot made by Shin Kyeongjun in 1770 were mainly based on Pallochongdo and Dongyeokdo series and used various maps and geographical documents provided by the county. Initial revision series and Pallochongdo and Dongyeokdo were thought to be made by Jeong-Cheoljo. The Haejusinbon series were made by using information provided by Jeong Cheoljo"s and Shin Kyungjun"s maps. They were made by Jeong Hujo, younger brother of Jeong Cheoljo.

목차

요약
Abstract
1. 머리말
2. 초기 수정본 계열-《팔도분도》를 중심으로
3. 규장각 소장 〈팔로총도〉와 《동역도》계열
4. 신경준의 《여지도》제작과 대축척 조선분도: 《조선팔도지도》(古屛912.51.J773)와 20리 방안의 군현지도를 중심으로
5. 정후조의 ‘海州新本’ 계열: 《朝鮮八道地圖》(古709-54)를 중심으로
6. 끝내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기봉(Kibong Lee). (2008).정상기의 《동국지도》 수정본 계열의 제작 과정에 대한 연구. 문화역사지리, 20 (1), 56-88

MLA

이기봉(Kibong Lee). "정상기의 《동국지도》 수정본 계열의 제작 과정에 대한 연구." 문화역사지리, 20.1(2008): 56-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