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정적 감정성향과 집단자기효능감의 관계에 미치는 개인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원의 매개역할

이용수 1775

영문명
The Effects of Negative Affectivity on Collective Self-Efficacy : A Focus on the Mediating Role of Personal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발행기관
한국산업경영학회
저자명
임창희(Chang-Hee Im)
간행물 정보
『경영연구』 第23卷 第1號, 75~10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2.28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직행동 연구분야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이나 조절역할 등에 관해서는 많은 학자들이 매우 많은 관심을 가져 왔지만 자기효능감을 결정하는 원인변수가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는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동시에 자기효능감을 개인수준에서만 관찰하였다. 즉, 집단효능감을 개인효능감과 정확하게 구별하지 않고 집단적 자신감이라는 개인자기효능감과 유사한 차원에서 연구되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개인효능감이 자기 개인을 향한 자신감이라면 집단효능감은 집단을 향한 개인의 자신감으로 보고 그것이 개인자기 효능감과 가지는 상호관계, 그리고 개인적 특성이 개인자기효능감과 집단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정, 그리고 이 과정에서 사회적 지원의 역할 등을 파악한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점에 초점을 두고 이론적인 인과모형을 만들어 검토하였다.
  첫째, 개인 자기효능감과 집단자기효능감의 구별성과 상관관계
  둘째,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개인적 특성인 부정적 감정성향의 역할
  셋째, 개인의 부정적 감정성향이 집단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때 존재하는 개인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원의 매개역할 검증
  연구방법으로는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변수간 영향관계를 나타내는 이론적 경로가설과 구조모형을 정립한 후, 289명의 남녀 직장인들로부터 수집한 설문지 응답자료들을 분석하여 연구모델들의 적합도 분석, 구조모델의 비교분석 등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관련 변수들은 모두 유의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가설에서 제안한 대로 부정적 감정성향은 개인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원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사회적 지원 또한 개인자기효능감과 집단자기 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개인자기효능감도 집단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러한 영향력들은 모두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교모형을 만들어 분석한 결과도 제안 모형이 가장 우수한 모델로 판명되어 부정적 감정성향이 집단자기효능감에 직접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본 논문에서 제시한 매개변수에 의해 간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그 외에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그리고 미래 연구자들을 위한 제언을 결론에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higher one"s self-efficacy(SE), the more likely one is to engage and persist in task-related behavior. Many researchers have found that SE positively predicts coping strategy, job performance, etc., and it acts as a moderator ameliorating the negative effects of stressors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Unfortunately,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how organizations could boost SE and the majority of research has focused on outcomes of efficacy beliefs, where as considerably less is known about the antecedents of SE. Moreover, although SE has been conceptualized at multiple levels of analysis, only limited multilevel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SE. Furthermore, multilevel researchers have apparently assumed that SE beliefs are consistent across level of analysis, yet this assumption has too rarely been tested.
  We have supposed that the concepts of SE at both the personal level(PSE) and group level(GSE) are related to important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outcomes, and that it is possible that there are unique antecedents of PSE and GSE.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two concepts are similar or distinct. In this research, we focus on negative affectivity as a personal traits as well as socio-emotional support, and we will prove that NA influences on GSE, and personal SE and social support have a mediating role between NA and GSE by test of the hypotheses. The data obtained from 289 mail and female workers who are working in divers organizatio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e: structural equation method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tc. with AMOS 4.0 and SPSS 12.0K for Windows.
  There was a very strong relationship between PSE and GSE. Finally NA is related to GSE negatively, and this relationship is mediated by PSE and social support. Path analysis showed that the interrelation of NA, PSE and social support and their relation with GSE are explained to a certain degree by our proposed mediating model.
  In this examination, we were particularly interested in identifying potential discontinuities in the predictors of SE and the data analysis supported all of our hypotheses, and results provide several extensions to research on SE, personality traits, group, and multilevel processes, with important implications for managerial practices. First of all, extending research on efficacy beliefs, our study found that PSE and GSE evolved through somewhat different mechanisms. Specifically, PSE and social support and NA as a personal factor were found to be important direct predictors of GSE.
  Though this study contributed both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it has some limitations, and additional comment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a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ssessment on variables was done by direct reports of the respondents, for example, which the objective degree of the GSE and social support can be different compared with respondents" self assessment. Finally, it was discussed with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목차

〈요약〉
Ⅰ. 문제제기와 연구의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의 설정과 검증
Ⅳ. 결론과 토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창희(Chang-Hee Im). (2008).부정적 감정성향과 집단자기효능감의 관계에 미치는 개인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원의 매개역할. 경영연구, 23 (1), 75-100

MLA

임창희(Chang-Hee Im). "부정적 감정성향과 집단자기효능감의 관계에 미치는 개인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원의 매개역할." 경영연구, 23.1(2008): 75-1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