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Comparative Study on Tunisian Government"s Religious Policies and their Limits
이용수 73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unisian Government"s Religious Policies and their Limits
- 발행기관
- 한국중동학회
- 저자명
- Choe Young-Chol(최영철)
- 간행물 정보
- 『한국중동학회논총』제26권 제1호, 35~5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8.0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1956년 튀니지 독립이후 시행된 튀니지 정부의 종교정책과 이슬람에 관련된 제도적인 개혁, 그리고 튀니지 이슬람운동의 부상과정을 개관하고 이러한 튀니지 정부의 종교정책과 그 한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중동국가 민주화 가능성 및 국가와 종교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기존 서구 학자들의 부정적인 시각을 비판적인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요르단, 팔레스타인, 이스라엘, 레바논, 쿠웨이트 등 중동 국가 및 한국 대학생들의 정치ㆍ경제ㆍ사회ㆍ종교적인 태도에 대한 설문조사결과에 대한 비교 분석을 바탕으로 경험적이며 실증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튀니지 독립과 현대 튀니지 국가건설에 크게 기여했으며, 1956년부터 1987년까지 튀니지를 통치했던 부르기바(Bourguiba) 대통령은 신분법개정을 통한 여성의 지위향상, 자이투나 이슬람대학교의 국립화 등 급진적인 서구 지향적, 세속주의적인 종교ㆍ사회 개혁과 이러한 개혁의 제도화를 시도하였다. 1987년 집권하여 2005년 현재까지 튀니지를 통치하고 있는 벤 알리(Ben Ali) 현대통령은 부르기바 전대통령의 과도한 세속주의적인 정책을 완화하고 튀니지의 아랍ㆍ이슬람적인 전통을 좀 더 강조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부르기바 대통령의 서구지향적, 세속주의적 정책의 기본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중동과 튀니지 대학생들에 대한 설문조사분석의 결과는 튀니지 정부의 이러한 급진적인 세속주의적 종교ㆍ사회정책에도 불구하고 튀니지 대학생들이 중동의 다른 이슬람국가 대학생들에 비해 더 세속화되거나 덜 종교적이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부르기바 및 벤 알리 대통령의 서구지향적, 세속주의적인 정책들이 튀니지 국민들의 종교생활과 이슬람적, 종교적인 태도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튀니지 대학생들은 이슬람이 중동정치발전의 장애요인이라는 서구 학자들의 주장과는 반대로 튀니지의 경우 이슬람이 사회ㆍ경제적인 발전과 정치발전을 방해하는 요인이 아니라는 응답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튀니지의 종교와 국가 간의 관계 그리고 이슬람과 정치발전에 대한 긍정적인 관계에 대한 본 연구는 이라크와 팔레스타인에서의 성공적인 선거 실시, 이집트와 사우디 아라비아, 쿠웨이트 등 중동에서의 정치적인 변화의 조짐과 함께 중동국가의 민주화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강화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튀니지 독립과 현대 튀니지 국가건설에 크게 기여했으며, 1956년부터 1987년까지 튀니지를 통치했던 부르기바(Bourguiba) 대통령은 신분법개정을 통한 여성의 지위향상, 자이투나 이슬람대학교의 국립화 등 급진적인 서구 지향적, 세속주의적인 종교ㆍ사회 개혁과 이러한 개혁의 제도화를 시도하였다. 1987년 집권하여 2005년 현재까지 튀니지를 통치하고 있는 벤 알리(Ben Ali) 현대통령은 부르기바 전대통령의 과도한 세속주의적인 정책을 완화하고 튀니지의 아랍ㆍ이슬람적인 전통을 좀 더 강조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부르기바 대통령의 서구지향적, 세속주의적 정책의 기본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중동과 튀니지 대학생들에 대한 설문조사분석의 결과는 튀니지 정부의 이러한 급진적인 세속주의적 종교ㆍ사회정책에도 불구하고 튀니지 대학생들이 중동의 다른 이슬람국가 대학생들에 비해 더 세속화되거나 덜 종교적이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부르기바 및 벤 알리 대통령의 서구지향적, 세속주의적인 정책들이 튀니지 국민들의 종교생활과 이슬람적, 종교적인 태도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튀니지 대학생들은 이슬람이 중동정치발전의 장애요인이라는 서구 학자들의 주장과는 반대로 튀니지의 경우 이슬람이 사회ㆍ경제적인 발전과 정치발전을 방해하는 요인이 아니라는 응답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튀니지의 종교와 국가 간의 관계 그리고 이슬람과 정치발전에 대한 긍정적인 관계에 대한 본 연구는 이라크와 팔레스타인에서의 성공적인 선거 실시, 이집트와 사우디 아라비아, 쿠웨이트 등 중동에서의 정치적인 변화의 조짐과 함께 중동국가의 민주화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강화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목차
Ⅰ. Introduction
Ⅱ. Secularist Government Policies since the Independence of Tunisia
Ⅲ. Legal Norms on Religion in Tunisia
Ⅳ. Religious Orientations of Tunisian College Students: Comparative Perspectives
Ⅴ. Conclusion
References
Ⅱ. Secularist Government Policies since the Independence of Tunisia
Ⅲ. Legal Norms on Religion in Tunisia
Ⅳ. Religious Orientations of Tunisian College Students: Comparative Perspectives
Ⅴ.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꾸란에 등장한 예언자 연구 - 요셉을 중심으로
- 中東地域의 自由貿易協定(FTA)에 대한 硏究
- القراءات القرآنية وترجمة معاني القرآن إلى الفارسية
- 수단 경제현황과 한국-수단 경제협력
- 사우디 히자즈 아랍어 현대방언 연구
- 마하바드 쿠르드 국가의 창설과 붕괴과정
- A Comparative Study on Tunisian Government"s Religious Policies and their Limits
- 터키 여성주의 작가 할리데 에딥의 생애와 작품연구 - 『세비예 탈립』과 『창녀를 쳐라』를 중심으로
- 미국의 대 이슬람권에 대한 인식 연구 - 냉전시기와 탈냉전시기 이슬람권에 대한 정책변화를 중심으로
- 서재만(徐在万) 교수 약력 및 논저술 목록
- 발간사
- 성전 문서(11QT)
- 한국중동학회 정관 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