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 분업의 근대적 재구성 - 한국 여성의 ‘가족형성기 탈취업’ 경향의 변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457

영문명
The Modern Reconstruction of the Sexual Division of Labor: Changes of ‘Korean Women"s Ex-employment during Family Formation’
발행기관
한국사회조사연구소
저자명
최선영(Choi Sun-Young) 장경섭(Kyung-Sup Chang)
간행물 정보
『사회연구』2004년 제2호, 173~20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10.0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한국여성의 생애취업유형을 경험적 자료를 통해 규명함으로써 지난 50여 년간 한국 사회의 급속한 산업화와 사회적 재구조화 과정에서 성 분업이 근대적으로 재구성되는 방식을 밝히는 연구이다. 이 논문은 출생코호트 비교분석의 방법을 취함으로써, 한국여성의 생애취업유형의 역사적 변화와 변화의 방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가족형성기 탈취업 경향이 각 코호트에서 어느 정도의 규모로 나타나고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 구체적인 생애과정상의 시점과 역사적 시기의 어느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가를 밝힐 수 있었다. 이에 따르면 한국여성들은 최근 출생코호트로 올수록 가족형성기 탈취업 정도가 커지고 있었으며, 여전히 ‘결혼’이 노동시장 퇴장 시점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렇게 규명한 통계적 사실을 노동시장과 가족의 역사적 관계에 위치지우기 위해, 통계적 분석을 문헌연구에 교차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통계적 분석으로 밝혀진 여성의 가족형성기 탈취업 경향의 역사성을 보다 분명히 할 수 있었다. 또한 취업한 여성들이 가족형성기에 진입하여 노동시장으로부터 퇴장하게 되는 이유를 노동시장과 가족이라는 제도적ㆍ이데올로기적 차원에서 조명할 수 있었다.
  그 결과 한국현대사의 압축적 근대화의 일부분으로 여성의 가족형성기 탈취업, 즉 성 분업의 근대적 재구성을 위치지어야 함을 경험적ㆍ논리적으로 입증했다. 이로써 여성의 단절적이고 불안정적인 노동시장 참여방식을 전통의 잔재로 치부하거나 남녀의 생물학적 차이로 정당화하는 기존의 설명논리의 한계를 분명히 드러낼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omen"s employment patterns over their lifetimes within the rapid capitalistic industrialization and gendered reconstructions of Korean society since 1950s. We know that women"s typical lifetime employment pattern, the double peak curve, shows the conflicting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family that women face throughout their lives. But when and how this relationship emerged and changed have not been discussed. This study examines this historical issue by inter- and intracohort comparison analysis and the feminist perspectives on the labor market and family ideology.
  The younger the birth cohort is, the stronger the possibility of the ex-employment during family formation is. And the period of family formation, especially the time of marriage is still the main time Korean women withdraw from the labor market. We illustrate the historicity of women"s gender-specific lifetime employment patterns. Not all of the birth cohorts experienced the employment breaks--that is, the women born before the 1940s(1937~41 year birth cohort) did not show the double peak curve. And the social meaning of Korean women"s ex-employment during family formation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historical times this event happens. So we can argue that the trend of Korean women"s ex-employment trends during family formation is not traditional or a pre-modern residual, but a ‘modern’ historical constructs. Women"s insecure lifetime employment pattern is part of the ‘compressed modernization’ of Korean society and also indicates the patriarchal character of modernization in Korea.

목차

1. 서론: 여성 배제의 전통성과 근대성
2. 기존연구 검토와 연구방법 및 자료
3. 한국 여성의 생애취업유형 변화: 가족형성기 탈취업을 중심으로
4. 한국 여성의 가족형성기 탈취업: 노동시장-가족의 역사적 관계와 성 분업
5. 결론
참고문헌
- 초록 -
- Abstract -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선영(Choi Sun-Young),장경섭(Kyung-Sup Chang). (2004).성 분업의 근대적 재구성 - 한국 여성의 ‘가족형성기 탈취업’ 경향의 변화를 중심으로. 사회연구, 5 (2), 173-203

MLA

최선영(Choi Sun-Young),장경섭(Kyung-Sup Chang). "성 분업의 근대적 재구성 - 한국 여성의 ‘가족형성기 탈취업’ 경향의 변화를 중심으로." 사회연구, 5.2(2004): 173-2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