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취업 및 미취업을 결정하는 요인 탐색 - 교육적 관점에서 최종학교 생활을 중심으로

이용수 930

영문명
Probes on variables determining employment/unemployment in terms of the terminal education school life
발행기관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저자명
이기종 김은주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26집 제1호, 17~3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8.0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청년층의 취업 및 미취업을 구분하는 결정요인 탐색은 주로 성별, 연령, 학력, 자격증 보유여부, 직업훈련 경험여부, 전공계열, 가구소득, 가구주 여부 영향요인 등 인구통계학적 또는 사회적 관점에서 탐색되어 왔다. 본 연구는 취업 및 미취업을 결정하는 요인을 기존연구에서 시도되지 않았던 최종학교 생활을 중심으로 교육적 관점에서 탐색하고 있다. 분석자료는 중앙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한 2004년도 제 4차 청년패널 자료이며, 취업 및 미취업을 결정짓는 요인탐색에 사용된 방법은 판별분석과 양분상관이다. 그 결과, 최종학교 생활에 관한 12개 독립변수 가운데 외국어 능력이 취업과 미취업을 판별하는데 가장 큰 영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전체적으로는 최종학교 생활에 표한 12개 독립변수들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값을 갖고 종속변수인 취업과 미취업을 판별하고 있으나, 실질적 측면에서 최종학교 생활에 관한 12개 독립변수가 취업과 미취업을 제대로 분류하고 있는지는 의문시된다. 또한 진로(상담)지도에 관한 변수, 일자리 경력에 관한 변수, 직업교육훈련에 관한 변수, 자격증에 관한 변수 등도 취업 및 미취업과 높은 상관을 보이고 있지 않다. 이것은 기존의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취업과 미취업에 관한 교육적 모형도 포괄적 설명을 해주지 못함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Research on employment/unemployment mainly has been carried out with respect to the demographical or sociological variables like sex, age, educational careers, possession of certificates, experiences with occupational trainings, college major, and household incom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arch the variables which decide employment/unemployment in terms of the terminal education school life. Data analyzed were from "Research on youth panel 2004" gathered by Central Employment Information Office.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and tetrachoric correlation analyses were used to investigate variables distinguishing the employed from the unemployed. Findings are shown below. Of the utmost importance is foreign language out of 12 explaining independent variables driven from the terminal education school life. Even though the 12 independent variabl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explaining the employment/unemployment, it is questioned that the 12 variables are substantial key factors distinguishing the employed from the unemployed. In addition, career consultations, job careers, job trainings, and certificates do not have the high correlations with the employment/unemployment. These findings strongly suggest that the educational model like other previous research is somewhat hard to explain comprehensively the employment/unemployment and some omitted variables, which are not included in the 2004 youth panel data, may exist.

목차

요약
Ⅰ. 연구배경과 목적
Ⅱ. 취업과 미취업에 관한 선행연구
Ⅲ. 자료 및 분석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기종,김은주. (2006).취업 및 미취업을 결정하는 요인 탐색 - 교육적 관점에서 최종학교 생활을 중심으로. 교육논총, 26 (1), 17-37

MLA

이기종,김은주. "취업 및 미취업을 결정하는 요인 탐색 - 교육적 관점에서 최종학교 생활을 중심으로." 교육논총, 26.1(2006): 17-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