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브랜드 가치에 대한 브랜드 이미지의 역할에 관한 연구

이용수 984

영문명
The roles of Brand Image on the Brand-Value-Up
발행기관
한국소비문화학회
저자명
최낙환(Choi Nak Hwan) 이창원(Lee Chang-Won)
간행물 정보
『소비문화연구』제9권 제3호, 67~8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9.0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문화 자본으로서의 장소는 패키지화되고 표준화된 상품을 개발하여 소비자에게 다가가고 이미지를 창출하여 소비경험에서 긍정적 체험과 이미지의 각인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장소에 대한 브랜드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연구는 극히 미약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소 브랜드의 가치에 대한 브랜드 이미지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장소브랜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으로써 하영원ㆍ전성률ㆍ김익태ㆍ김기수ㆍ홍성민(2003)의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브랜드 이미지를 설정하였으며, 이러한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써 사회적 동일시, 기능성 충족, 고유의 독특성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사회적 동일시, 기능성 충족, 고유의 독특성의 결정요인들을 설정하여 이를 전주한옥마을을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 장소 브랜드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경험적이미지, 상징적이미지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져야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사회적동일시, 기능성충족, 고유의 독특성의 경우 경험적이미지, 기능적이미지, 상징적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용자매력성, 사회적혜택, 심리적혜택은 사회적 동일시에 영향을 미치며, 가격적정성, 음식점품질, 정보이용성은 기능성 충족 요인이었고, 전통적이미지, 전통음식충족욕구, 전통문화다양성등은 고유의 독특성 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전주 한옥 마을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에게 차별적 이미지를 제대로 인식시켜 장기간에 걸쳐 소비자 충성도를 유지시켜 줄 것이며 이를 통해서 재무적 성과 및 차별화된 이미지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factors affecting role of Brand Image on the Brand Value Up through three approaches(functional image, experience image, symbolic image) respectively, and designed the integrative model through search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In this study experience image are designed to be explained by social identification that are explained by factors related to the usage attraction, social benefit, psychological benefit. And functional image are designed to be explained by functional sufficiency that are explained by factors related to the price propriety, food quality, approach possibility, information possibility.
  And symbolic image are designed to be explained by peculiarity unique that are explained by factors related to the traditional image, traditional food sufficiency need, traditional cultual diversity.
  The results from our empirical research showed that usage attraction, social benefit, psychological benefit have a direct effect on social identification. and social identification have a direct effect on experience image. and experience image have a direct effect on improvement of Brand Value Up on Jeon-Ju Han-ok Village.
  The results from our empirical research showed that price propriety, food quality, information possibility have a direct effect on functional sufficienc. and functional sufficience have a direct effect on functional image. and functional image have not a direct effect on improvement of Brand Value Up.
  And The results from our empirical research showed that traditional image, traditional food sufficiency need, traditional cultual diversity have a direct effect on peculiarity unique. and peculiarity unique have a direct effect on symbolic image and symbolic image have a direct effect on improvement of Brand Value Up.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 가설
Ⅲ. 연구방법
Ⅳ. 가설 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낙환(Choi Nak Hwan),이창원(Lee Chang-Won). (2006).브랜드 가치에 대한 브랜드 이미지의 역할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9 (3), 67-89

MLA

최낙환(Choi Nak Hwan),이창원(Lee Chang-Won). "브랜드 가치에 대한 브랜드 이미지의 역할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9.3(2006): 67-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