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제조업의 집적과 지역화 : 1909~2003 - 추세의 분석과 정책적 함의 -

이용수 209

영문명
Geographic Agglomeration and Localization in Korean Manufacturing: 1909-2003 - Analysis of the Trends and Policy Implication -
발행기관
한국경제연구원
저자명
이윤(Yune Lee) 구자형(Jahyeong Koo)
간행물 정보
『한국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연구보고서 (2005-17), 1~135쪽, 전체 135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1.17
19,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에서 사적 소유권과 기업 활동의 자유가 법적으로 확립된 이래 이루어진 제조업의 지역별 집적, 특화 그리고 이동성의 장기적 추이를 기록하고 분석한다. 분석기간 동안 한국의 경제는 지역별로 분할된 소농 중심의 경제에서 통합된 국민경제로 전화되었으며, 빈곤한 농업국가에서 고도의 산업국가로 성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 제조업 고용의 상대적 분포는 1930년대와 크게 다르지 않다. 이것은 식민지기에 건설된 수송망체계가 그 후에도 유지·보강되었기 때문이다. 제조업의 지역특화도는 식민지기 초기에 약간 하강하다가 한국전쟁 이래 상승하여 1980년대 중반 정점에 다다른 후 하강한다. 이것은 수송비 하락에 의하여 주로 설명될 수 있다. 이 추세는 Kim(1995)이 보고한 미국의 경험과 거의 일치한다. 패널데이터 분석에 의하면 한국 제조업의 지역적 특화도는 평균 공장규모와 상관관계가 있으나, 산업의 첨단성이나 특정 원료 의존도와는 상관관계가 없다. 이는 기술 스필오버가 입지 선정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크지 않다는 것을 말해준다. 특화도의 동태적 분석은 한국 제조업의 이동성이 작지 않았음을 보인다. 따라서 현재 제조업의 지역적 분포가 역사적 우연이나 의도된 정책의 결과가 아니라 시장균형의 산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정부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 아래 외부성을 전제로 한 클러스터의 육성을 통하여 지역간 균형발전을 이루고자 한다. 우리의 연구는 기업 입지에서 정부의 개입을 정당화할만한 시장의 실패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제조업의 지역적 집적이 가져오는 외부성이 산업의 재배치에 따른 비용을 정당화할 정도로 크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 제조업 재배치를 통한 국가균형발전정책은 한국경제의 역사적 현실에 부합하지 않는다.

영문 초록

We examine the long-term trends in the regional agglomeration, specialization and mobility of Korean manufacturing. Korea began to cross-over to a capitalist system in the early 20th century, largely by adopting modern property rights while under the colonial rule of Japan. A rapid growth during this period and market integration resulted in tremendous changes in the Korean economic landscape. By observing these economic changes and other developments, we explore the driving forces that produced the current geographic distribution of manufacturing facilities. We emphasize the role of transportation networks and transport costs in shaping the country's regional industrial agglomeration and specialization.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manufacturing employment in Korea has been stable since the mid-1960, when the country had begun to recover from the severe destruction of the Korean War. While we observed a relatively slow growth in the Southwest region, the stability of the overall regional distribution of manufacturing employment was striking, considering the massive urban migration during this period. However, a regional agglomeration of manufacturing in Korea has fallen steadily during the last century ―except the recovering period after the Korean War― controlling urban migration of population. Our index shows that regional manufacturing employment has converged to the national average in most regions. Localization rose until the early 1980's and has fallen continuously. The trends of localization in Korea are comparable to those in the U.S. manufacturing reported by Kim (1995). The panel data estimations show that the localization occurs in Korea to exploit the economies of scale. However, unlike the U.S. case, abundant resources are not a driving force of localization in Korea. An examination of the time series and cross-section of the localization indexes of high-tech industries show the absence of an economically meaningful external economy in Korean manufacturing. The decomposition of a localization measure into mean reversion factor and dispersion factor following Dumais, Ellison and Glaeser (2002) shows that industry mobility in Korea is high and the historical events may not be so important in localization of industries. The analysis supports the argument that transport costs are a major source of change in localization in the long-run. Our analysis provides the empirical ground to evaluate the “balanced regional growth plans" currently being aggressively pursued by the Korean government. The two major building block theories of the “balanced regional growth plans" are: (1) since the locations of industries are not balanced geographically, the government needs to intervene to relocate them; and (2) by forming industrial clusters under the government leadership, industries can generate innovation and, consequently, higher productivity. However, our time series analyses show that there is no remarkable market failure or a positive external economy that may justify government intervention in the location of manufacturing industries. If an excessive concentration of resources in Seoul and its vicinity exists, it is caused by the service industry, not by manufacturing. Thus, the solution is not found in relocating manufacturing industries.

목차

발간사
차례
표차례
그림차례
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자료와 분석단위
제3장 교통의 발달과 시장의 확대
제4장 산업의 집적
제5장 산업의 지역화
제6장 지역화의 요인 분석
제7장 지역특화의 동학적 분석
제8장 정책적 함의와 결론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윤(Yune Lee),구자형(Jahyeong Koo). (2005).한국 제조업의 집적과 지역화 : 1909~2003 - 추세의 분석과 정책적 함의 -. 한국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2005 (17), 1-135

MLA

이윤(Yune Lee),구자형(Jahyeong Koo). "한국 제조업의 집적과 지역화 : 1909~2003 - 추세의 분석과 정책적 함의 -." 한국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2005.17(2005): 1-1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