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잠복 브랜드(Furtive Brand)의 제조사 공개 효과 - 기업 평가 및 신제품 구매 의도를 중심으로

이용수 78

영문명
Self-Disclosure Effect of Furtive Brand on the Evaluation of Corporate Brand and Purchase Intention
발행기관
한국소비문화학회
저자명
곽준식(Kwak Junsik)
간행물 정보
『소비문화연구』제9권 제1호, 103~12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3.0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인켈, 트롬, 지펠과 같이 신제품이 기업이 추구하는 기존의 제품범주와 관련성이 낮거나 품질에서 기존의 제품범위를 벗어나는 제품 시장으로 진출할 경우 소비자가 느끼는 부정적 연상을 피하기 위해 기업명을 숨기고 브랜드만을 알리는 잠복 브랜드(furtive brand)를 사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제조사가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잠복 브랜드를 가지고 있는 경우 신제품을 출시할 때 잠복브랜드와 제조사와의 관계를 공개할 경우(이하 관계 공개) 제조사 및 신제품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3집단(관계 비공개 후 신제품 평가집단, 관계 공개 후 신제품 평가 집단, 잠복브랜드 평가 집단) 실험 설계를 적용하여 소비자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이트로닉스라는 기업에서 생산하고 있는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인켈”이라는 실제 잠복 브랜드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소비자에게 긍정적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인켈이 이트로닉스라는 회사에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는 것을 모르고 있는 소비자에게 인켈을 만든 회사가 이트로닉스라고 알려주었을 때 단기적기존 인켈 브랜드는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았고, 인켈의 제조사인 이트로닉스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만 인켈을 언급하지 않은 경우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트로닉스에서 새로 출시하는 전화기에 대해서도 더 높은 구매의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잠복 브랜드의 제조사 공개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기업에 대한 태도변화에 의해 매개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신제품이 제조사와 잠복 브랜드 모두와의 유사성이 낮은 제품군임에도 불구하고 잠복 브랜드의 제조사 공개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매우 흥미로운 사실을 바탕으로 잠복 브랜드가 기업에 대한 평가보다 더 좋을 경우 신제품 출시시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소비자의 신제품 구매의도를 높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실무적 시사점이 높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rimary objective of the present research explored self-disclosure effect on furtive brand (hereafter, self-disclosure of furtive brand) in the evaluation of corporate brand and purchase intention. To do this, the present research compares three advertising formats (self-disclosure of furtive brand, no disclosure of furtive brand, and furtive brand).   As a result, when subjects evaluated a corporate brand, they had positive evaluations on self-disclosure of furtive brand (vs. no disclosure). In addition, when subjects evaluated a purchase intention, they had higher purchase intentions to self-disclosure of furtive brand (vs. no disclosure). The self-disclosure effect of furtive brand on the evaluation of purchase intention is mediated corporate brand attitude.   Thus, the results provide an important implication that self-disclosure of furtive brand is an effective strategy when unknown companies release new product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가설 설정
Ⅳ. 실험
Ⅴ. 실험결과
Ⅵ.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준식(Kwak Junsik). (2006).잠복 브랜드(Furtive Brand)의 제조사 공개 효과 - 기업 평가 및 신제품 구매 의도를 중심으로. 소비문화연구, 9 (1), 103-122

MLA

곽준식(Kwak Junsik). "잠복 브랜드(Furtive Brand)의 제조사 공개 효과 - 기업 평가 및 신제품 구매 의도를 중심으로." 소비문화연구, 9.1(2006): 103-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