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30년대 '신식'화장담론이 구성한 소비주체로서 신여성 : 여성잡지 『신여성』, 『신가정』, 『여성』을 중심으로

이용수 537

영문명
Buy Cosmetics and You Shall Be Modern : 'New style' Cosmetics Discourse and Construction of the New Woman in Colonial Korea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저자명
김미선(Mee-Sun Kim)
간행물 정보
『여성학논집』제22집 제2호, 145~182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2.0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식민지 조선의 소비문화가 새로운 여성 주체인 신여성을 구성하는 데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30년대 발간된 여성잡지 『신여성』, 『신가정』, 『여성』에 실린 화장품 광고와 여성미 및 화장에 관한 미용사와 지식인의 글을 중심으로 하여 "신식"화장담론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1930년대 화장문화의 산업화와 전문화 과정 속에서 부상한 "신식"화장담론이 구성한 새로운 여성주체는 화장품과 같은 상품 소비를 통해 화장과 같은 외모관리를 실천하는 소비주체로서의 신여성이다. 그리고 이러한 담론은 식민지 조선사회에서 여성성 규범의 일환으로써 외모관리가 부상하도록 영향을 미치는 등 "새로운" 젠더장치로 부상 및 작동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women subjects constructed by the 'New style' cosmetics discourses in the 1930s. It analyzes articles and advertisements related to cosmetics that appeared in three major women magazines in the 1930s - Sinyosung, Singajung and Yosung. M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ale intellectuals in the colony invented a new concept of women's beauty as a discourse, as its standards came from the western world. Modern women were expected to have a modern look, one identical to the western look in this discourse. Second, cosmetics became commercialized, industrialized, and professionalized in order to make the practice mundane. Consumption was central to the construction of modern female subjects, and cosmetics became a necessity. Third, the New Woman, as modern female subjects that were constructed by the 'New style' cosmetics discourse, consumed cosmetics in modern public spheres such as department stores, cosmetic shops and women magazines. Through such activities, these female subjects became individualized consuming subjects. This shows that the New Woman was an important actor in the modern consumption culture.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the consumer culture in the colonial period was a central factor in the making of 'New Woman' subjects under colonization.

목차

1. 머리말
2. 화장문화의 상품화 / 과학화 / 전문화
3. 근대 여성과 여성미의 근대화
4. 여성의 화장품 소비를 촉구하기 위한 화장품 광고의 전략
5. '신식'화장담론이 구성한 새로운 여성 주체로서 신여성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선(Mee-Sun Kim). (2005).1930년대 '신식'화장담론이 구성한 소비주체로서 신여성 : 여성잡지 『신여성』, 『신가정』, 『여성』을 중심으로. 여성학논집, 22 (2), 145-182

MLA

김미선(Mee-Sun Kim). "1930년대 '신식'화장담론이 구성한 소비주체로서 신여성 : 여성잡지 『신여성』, 『신가정』, 『여성』을 중심으로." 여성학논집, 22.2(2005): 145-1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