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동거주의 의미와 한국가족의 변화 : 서울지역과 제주도의 도시중산층 가족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856

영문명
Meanings of Co-residence and Changing Korean Families: Case Studies of Urban Middle Class Families in the Seoul area and Jeju Island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김혜숙(Hye-Sook Kim) 김은희(Eun hee Kim) 김항원(Hang-Won Kim) 유철인(Chul-In Yoo)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17집 제1호, 3~3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4.0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공동거주를 사회마다 다양한 의미가 부여되는 문화적 행위로 취급하여, 서울지역과 제주도의 도시중산층의 가족에서 공동거주 집단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해체되며, 공동거주에 어떠한 의미가 부여되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전통적으로 살림공동체이며 공동거주 집단이었던 직계가족은 거의 해체되었어도 가족구성원들은 “집”을 육아와 제사, 경제활동과 재산관리 등 공동의 가내활동을 수행하는 가족공동체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집”을 구성하는 성원들 간의 결합의 정도는 다양하며 공동거주의 경계도 불분명하다. 서울지역의 경우 겉으로 보기에 “부모를 모시는”직계가족으로 보여도 실제로 주거공간이 세대별로 분리되어 있고 취사를 따로 할 수 있는 “집”이 있으며, 서로 “편하게 살아야”하는 핵가족도 있다. 제주도의 도시가족은 제주도의 전형적인 “안팎거리”의 거주형태가 실현되고 있지는 않지만, 핵가족의 경제적 독립성이 서울의 사례보다 강조되고 있다. 또한 “집”은 딸이 아닌 아들이 대를 잇는 부계 제사집단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가족의 다양한 활동 중에서 공동거주만을 가장 중요한 활동으로 간주하여, 함께 살지 않으면 가족이 해체되는 것으로 보는 접근방식은 재고되어야 한다. 한국가족의 변화를 논의하는데 있어, 공동거주가 일어나는 여러 형태와 의미를 살펴보고 “집”이라는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공동으로 하는 활동의 내용과 의미까지 폭넓게 파악하는 접근방식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various forms and meanings of "co-residence" among the seven middle class families in the Seoul area and Jeju Island. It shows that the jip exists as a culturally meaningful unit in the urban context, even when it does not constitute an undivided household. Irrespective of whether or not its members reside together, the members of a jip may cany out jointly various activities such as cooking, child rearing, performing jesa(ancestral rituals), managing family business, controlling common property of jip, and so on. Also, in the Seoul area the married son's nuclear family is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unit whose members should live at ease in a separate dwelling from that of the parents. On the other hand, urban nuclear families in Jeju Island put more emphasis on the economic independence of the married son's household than their counterparts in the Seoul area.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e reconsideration of the approach to the changing Korean family, which focuses mainly on the classification of family forms.

목차

한글초록
Ⅰ. 문제의 제기
Ⅱ. 가족의 개념과 공동거주
Ⅲ. 공동거주의 여러 형태와 의미
Ⅳ. 결론 : 공동거주의 의미와 한국가족의 변화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숙(Hye-Sook Kim),김은희(Eun hee Kim),김항원(Hang-Won Kim),유철인(Chul-In Yoo). (2005).공동거주의 의미와 한국가족의 변화 : 서울지역과 제주도의 도시중산층 가족의 사례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17 (1), 3-34

MLA

김혜숙(Hye-Sook Kim),김은희(Eun hee Kim),김항원(Hang-Won Kim),유철인(Chul-In Yoo). "공동거주의 의미와 한국가족의 변화 : 서울지역과 제주도의 도시중산층 가족의 사례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17.1(2005): 3-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