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구개발조직의 창의적 연구환경과 효과성 : 정부출연연구기관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959

영문명
Creative R&D Environment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Korean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발행기관
한국인사조직학회
저자명
정한규(Han-Kyu Jung) 손태원(Tae-Won Sohn)
간행물 정보
『인사조직연구』인사·조직연구 제12권 특별호, 127~165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8.01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가 경쟁력 강화와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의 연구수월성 제고를 위한 연구환경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창의적 연구환경이 조직효과성의 관점에서 고성과 R&D조직과 저성과 R&D조직간에 어떤 차이가 나는지를 비교하였다. 분석 자료는 42개 출연(연)의 박사급 연구인력 8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창의적 연구환경에 대한탐색적 이론의 틀로부터 도출된 8개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자료의 검증을 위해서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분산분석 그리고 T-test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R&D역량 제고를 위한 창의적 연구환경은 관리시스템 환경과 창의적 문화 환경으로 분류되었다. 관리시스템 환경에는 유동성, 다양성, 공정성 그리고 독립성이 제시되었고, 창의적 문화 환경에는 자율성, 연결성, 중첩성 그리고 유연성이 포함되었다. 둘째, 관리시스템 환경 중에서 유동성과 공정성은 저성과 R&D조직보다 고성과 R&D조직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창의적 문화 환경 중에서 자율성, 연결성 그리고 중첩성은 저성과 R&D조직보다 고성과 R&D조직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창의적 연구환경과 R&D조직의 효과성이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출연(연)의 연구수월성 제고를 위해서는 연구개발의 평가와보상에 대한 공정성, 연구개발 활동의 자을성, 지식공유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연구 인력의 연결성, 연구개발 자원의 중첩성 그리고 혁신지향적인 조직의 유연성 등과 같은 창의적 연구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 출연(연)의 특성으로 인해 관계성이 분명하게 판명되지는 못했지만, 연구협력을 위한 유동성, 연구 인력의 다양성, 연구기관의 독립성 등에 대해서토 관리역량의 집중이 요구된다. 정부는 출연(연)의 창조적 긴장을 통한 연구 성과의 제고를 위해서 관리통제(지배구조)와 연구수월성 간에 균형된 관점에서 보다 혁신적이고 창조적인 R&D정책을 모색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creative R&D environments in Korean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hereinafter KGRI).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and compare the differences of creative R&D environments between high performing KGRI and low performing KGRI from leverag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rspectives. The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a sample of 864 principal investigators in 42 KGRI, and 8 hypotheses in 2 categories derived from research framework of creative R&D environments were tested. And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ANOVA and T-test analyses have been conducted for the statistical tests. There are thre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The creative R&D environments for the development of R&D competence was classified into two groups, namely managerial system environment (mobility, diversity, equity, independency) and creative culture environment (autonomy, connectivity, redundancy, flexibility). Second, mobility and equity out of the components of managerial system environment appeared higher in high performing KGRI than low performing KGRI. Third, autonomy, connectivity and redundancy out of the components of creative culture environment appeared higher in high performing KGRI than low performing KGRI. Therefore, this study found that the creative R&D environments is closely related to effectiveness of R&D organizations. In this regard, Korean government is possible to choose more innovative and creative R&D policies, considering balanced perspectives between management control system (governance structure) and R&D effectiveness for fluctuation and creative intension of KGRI.

목차

초 록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가설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와 논의
Ⅵ.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한규(Han-Kyu Jung),손태원(Tae-Won Sohn). (2004).연구개발조직의 창의적 연구환경과 효과성 : 정부출연연구기관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인사조직연구, 12 (특별), 127-165

MLA

정한규(Han-Kyu Jung),손태원(Tae-Won Sohn). "연구개발조직의 창의적 연구환경과 효과성 : 정부출연연구기관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인사조직연구, 12.특별(2004): 127-1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