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성의 생애단계별 평생직업교육의 실태분석

이용수 590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Vocational Training based on the life-stage of Women
발행기관
한국평생교육학회
저자명
고인아(Koh In Ah)
간행물 정보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9권 제3호, 247~27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12.0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여성의 평생직업교육은 여성의 생애단계의 욕구를 반영하여 실시되어야한다. 나아가 성인여성들의 (재)취업욕구와 삶의 문제를 반영한 평생직업교육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현재 실시되고 있는 여성 평생직업교육과정들이 여성의 생애단계별 욕구를 충족시키는지 실태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런 의미에 본 연구에서는 결혼과 자녀양육을 기준으로 여성의 생애단계를 구분하고, 여성 평생직업교육의 실태를 각 생애단계별로 조사·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여성들은 공감대 형성, 취업정보 획득 등의 이유로 통일 생애집단에서 학습하기를 선호 하였고, 특히 학교졸업이후 결혼하기까지와 육아이후 (재)취업시기에 동일집단에서 학습하기를 의망하는 비율이 높았다. 하지만 이시기에 자신의 생애단계에 적합한 평생직업교육을 발견하기는 어려웠다. 만족도면에서 강사만족도는 비교적 높지만, 육아이후 (재)취업하는 시기에 강사의 학습자 이해부족에 대한 불만이 많았다. 현 평생직업교육과정은 사회제도, 법률의 이해나 문제 해결태도의 향상에는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하였지만, 결혼, 육아기에 평생직업교육과정에 참여할 경우 자신감 증진에 도움이 되었다. 그리고 결혼 및 육아기에는 자녀양육과 가사부담이 큰 생애문제지만. 교육과정에서 이런 문제를 다루지 않았고. 강사들이 학습자를 이해하기를 희망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육아이후 (재) 취업을 희망하는 여성들이 취업에 적극적인 성향을 보였다. 대부분의 여성이 직업능력향상 필요성 을 인식하면서 직업능력향상을 위해서 노력하고 있었는데, 특히 육아이후 (재)취업하는 시기에 이런 경향이 강하였다.

영문 초록

Vocational training for women should consider their life issues and needs by life-stage. For this, whether the existing vocational training for women meets women's needs for each life-stage or not should be investigated. In this respect, this paper has classified women's life-stage based on their economic activities, and then,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s of vocational training by women's life-stage.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women in 20 to 50 years of age evenly participate in vocational training, and that especially, women in 30 to 34 years of age, who usually pursue reemployment after child-rearing, participate in it most. The respondents preferred receiving vocational training which met with their life-stage for the reason of having sympathy. However, they thought it difficult to find suitable one. The first purpose that they want to receive vocational training is to get a job, which is followed by learning and then, by aid for living. Many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had participated in vocational training once, and training in the fields of IT and cooking was most preferred. The level of their satisfaction for teacher was high, but they complained about teachers' lack of understanding students at the time of reemployment. Most of the respondents fully understood necessity for their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and tried to make it. This phenomenon was clearly seen at the time of reemployment after child-rearing. The factors that they consider most when selecting vocational training are curriculum and job type, and barriers to their receiving vocational training are cost, shortage of job infonnation and shortage of basic knowledge. They think vocational training will not help them understand the social system/the laws or solve the matters of child-care, conflicts with people, stress and costs. And they also think improvement on job arrangement, job infonnation supply or educational facilities needs to be made.

목차

요약
1. 서론
2. 생애단계의 이해
3. 연구내용 및 방법
4. 조사결과 및 해석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인아(Koh In Ah). (2003).여성의 생애단계별 평생직업교육의 실태분석. 평생교육학연구, 9 (3), 247-273

MLA

고인아(Koh In Ah). "여성의 생애단계별 평생직업교육의 실태분석." 평생교육학연구, 9.3(2003): 247-2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