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고등학교 과시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467

영문명
The Propensity for Conspicuous Consumption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한국소비문화학회
저자명
유두련(You D00 Ryon) 박영미(Park Young Mee) 함현정(Ham Hyeon Jeong)
간행물 정보
『소비문화연구』제7권 제1호, 23~4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4.0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목적은 청소년소비자의 과시소비 수준을 살펴보고 이에 미치는 제 변수들의 영향력을 파악해봄으로써 건전한 소비생활 문화를 정착시켜나가는데 필요한 소비자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조사대상자가 청소년임을 고려하여 유명상표선호와 수입품선호, 유행 및 타인지향 등으로 과시소비성향을 구분하고, 또한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과시소비를 각각 구분하여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대구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중학교, 고등학교의 1, 2학년을 대상으로 총 842부를 최종 분석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생의 과시소비성향은 중간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수입품선호의 경향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지위과시를 위한 유명상표선호는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 고등학생에게 현저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시소비성향에 대하여 사회경제적 변인 중에서는 월평균 용돈의 크기, 사회관련 변인 중에서 중학생에게는 특히 친구영향이 가장 의미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고등학생에게는 무엇보다도 대중매체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소비자교육과 학교소비자교육은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에 의미가 없는 영향변인으로 나타났다. 더구나 가정소비자교육이 높은 경우 유행 및 타인지향이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청소년들의 소비생활패턴은 성인에까지 이어지게 되므로 우리나라가 건전한 사회로 발전되기 위해서는 성인소비자들이 우선 소비생활의 모범이 되고, 학교, 가정, 정부, 사업자등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이 건전한 소비생활 가치관의 중요성을 깨닫고,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함께 힘을 모아 나아가는 것이 절실히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Propensity for Conspicuous Consumption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mographic variables, socio-environmental variable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on the Conspicuous Consumption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842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Questionnaires in Dae gu.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ensity for Conspicuous Consumption of the Students averages 2.47 points (Max. 5.0). The average score of high School Students is beyond of its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for examining the relative influences of variables affecting Conspicuous Consump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lative importance of related variables are in the order: affecting degree of their friends, materialism. mass-communication. and monthly pocket money. In the case of high School Students, the relative importance of related variables are in the order: mass-communication, materialism, monthly pocket money. and affecting degree of their friends. Third.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t of consumer educational level in the family and in the school.

목차

요약
1. 문제제기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및 고찰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두련(You D00 Ryon),박영미(Park Young Mee),함현정(Ham Hyeon Jeong). (2004).중·고등학교 과시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7 (1), 23-46

MLA

유두련(You D00 Ryon),박영미(Park Young Mee),함현정(Ham Hyeon Jeong). "중·고등학교 과시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7.1(2004): 23-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