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족지지 정도에 따른 정신장애인의 재활성과 차이

이용수 859

영문명
The Level of Perceived Family Support of the Mentally Ill and its Differential Impact on Psychosocial Rehabilitation Outcomes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김이영(Yiyoung Kim) 배성우(Sungwoo Bae)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17집 제2호, 235~25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8.0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이 지각한 주관적 가족지지 정도에 따라 재활성과에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연구하였다. 참여자는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352명으로 가족지지가 낮은 집단 173명, 가족지지가 높은 집단 179명이었다. 결과는 첫째, 임상적 영역의 재발율과 증상에서는 집단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기능적 영역의 기능평가에서 전체점수와 하위 요소인 일상생활 수행기술, 자신과 타인과의 관계의 점수가 가족지지가 높은 집단이 가족지지가 낮은 집단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탐색 효능감 평가에서 가족지지가 높은 집단이 가족지지가 낮은 집단보다 전체점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관적 경험의 영역의 삶의 질 평가에서 삶의 질의 전체점수와 긍정적인 자기지각 하위요소가 가족지지가 높은 집단이 가족지지가 낮은 집단보다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평가에서 전체점수와 구체적 효능감, 일반적 효능감 하위요소가 가족지지가 높은 집단이 가족지지가 낮은 집단보다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족지지가 정신장애인의 기능적 영역(기능과 직업태도), 주관적 경험 영역 (삶의 질,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whether the mentally ill people's level of perceived family support has any impact on various dimensions of their rehabilitation outcomes. The participants were 352 mentally ill patients who were attending psychosocial rehabilitation centers nationwide. The analyses were done by categorizing 173 subjects into high perceived family support group and another 179 subjects into low perceived family support group.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the two groups did not reveal any statistical differences in terms of rehospitalization rate and symptom levels. Second, the group with high perceived family support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total score of functioning level than the other group. When the sub-dimensions of functioning level scale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high perceived family support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functioning in daily living activity skills and social relationship dimensions than low perceived family support group. Third, the high perceived family support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total score of quality of life scale and in the sub-dimension of positive self awareness than low perceived family support. Fourth, compared to low family support group, high family support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the total score of occupational exploration efficacy scal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upport from family member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mentally ill people's functioning level, quality of life, and occupational exploration efficacy,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were discussed.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의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이영(Yiyoung Kim),배성우(Sungwoo Bae). (2005).가족지지 정도에 따른 정신장애인의 재활성과 차이. 가족과 문화, 17 (2), 235-257

MLA

김이영(Yiyoung Kim),배성우(Sungwoo Bae). "가족지지 정도에 따른 정신장애인의 재활성과 차이." 가족과 문화, 17.2(2005): 235-2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