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분광 이미지 분석을 활용한 식육의 구조체 분석 및 이화학적 특성 분석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Study on structural analysi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eat using hyperspectral image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축산식품학회
- 저자명
- 차지윤 김예지 김정헌 박민경 정사무엘 최윤상
- 간행물 정보
- 『Food and Life』제2025권 제1호, 15~2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pork (loin, tenderloin, neck, and belly) and beef (loin, tenderloin, round, and brisket) using hyperspectral imaging and food scanner analyses. Color, pH, and water-holding capacity (WHC) were analyzed, revealing that pork belly showed the highest lightness (69.90), while beef round exhibited the lowest (35.54). Redness and yellowness varied significantly among cuts, influenced by intramuscular fat and chemical composition. The pH ranged from 5.66 to 6.23, with pork neck having the highest pH and WHC, confirming the correlation between pH and WHC. Food scanner analysis quantified fat, moisture, protein, ash, and collagen content, showing that pork belly had the highest fat content, whereas beef loin had the highest collagen content. Hyperspectral imaging analysis extracted mean reflectance spectra, identifying key wavelengths such as 430, 541, 574, and 980 nm related to heme, water, and oxidation states. Pork showed higher reflectance than beef, highlighting chemical composition differences. 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models predicted fat, moisture, and protein content, with protein prediction demonstrating moderate accuracy (R2=0.411). However, limited data posed challenges to model generalization. These findings suggest hyperspectral imaging as a promising tool for comprehensive meat quality assessment.
영문 초록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 약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분광 이미지 분석을 활용한 식육의 구조체 분석 및 이화학적 특성 분석 연구
- Enhancing food safety regulation and assurance systems in the beef value chain of Bangladesh
- 갈색거저리 및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
- Effect of boiled feed on the physicochemical, histochemic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Hanwoo cow beef (M. longissimus lumborum)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식품과학분야 BEST
- 못난이 농산물이 일반 농산물 가격과 사회 후생에 미치는 영향
- 대체단백질식품(식물성 대체육, 배양육, 식용곤충) 국내외 시장 현황 및 연구
- 스마트팜 농업의 정착을 위한 농업경영모델 구축
농수해양 > 식품과학분야 NEW
- 초분광 이미지 분석을 활용한 식육의 구조체 분석 및 이화학적 특성 분석 연구
- Enhancing food safety regulation and assurance systems in the beef value chain of Bangladesh
- 갈색거저리 및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