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edicting Maternal Parenting Stress in Preschooler: Decision Tree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보육지원학회
- 저자명
- 신유림
- 간행물 정보
- 『한국보육지원학회지』제21권 제1호, 183~19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a prediction model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based on decision tree analysis. Key predictions were children’s age, gender, temperament, ADHD diagnosis,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the quality of mother-teacher relationships.
Method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737 children aged three to five years and their mothers. Mothers completed assessments on children’s temperament, parenting stress, and mother-teacher relationships. Teachers provides reports on children’s ADHD symptoms using a ADHD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cision tree analysis.
Results: Results reveled significant predictor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including children’s behavioral inhibition, effortful control, ADHD and trusting, cooperative mother-teacher relationships. Children’s behavioral inhibition and ADHD were identified as risk factors that increased parenting stress, while effortful control and trusting, and positive mother-teacher relationships served as protective factors reducing parenting stres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children’s temperament traits, such as behavioral inhibition, effortful control, along with ADHD and positive mother-child relationships, are significant predictor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Based on these findings, targeted intervention are recommended to develop parental support programs for mothers experiencing high levels of parenting stress.
영문 초록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유아 공공형 실내 놀이공간의 운영실태 및 운영의 어려움
- 순환적 공감모형 기반 보육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MZ세대 초임보육교사의 어린이집 사직 요인에 대한 사례연구
- 유아교사의 구성주의신념이 수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수학적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어린이집 원장의 학부모 민원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의미 탐색
- 중국 예비 유아교사의 학업 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Y대학을 중심으로
- 음악과 연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효과 검증연구: 영아의 신체운동능력과 놀이성을 중심으로
- 빅데이터를 이용한 사립 유치원 초임교사의 어려움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보육교직원의 참여 동기와 요구 분석을 통한 어린이집 컨설팅 사업의 개선 방안 모색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적용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예측모형
-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 실행기능의 매개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