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고령화시대, 청년층의 행복과 불교교양교육
이용수 2
- 영문명
- The Happiness of Youth and Buddhist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Era of Super-Aging
- 발행기관
- 한국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장미란
- 간행물 정보
- 『종교교육학연구』제79권, 23~4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초고령화시대를 책임질 대학생의 행복감 향상을 위한 교육적 접근을 모색한다. 행복 추구 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D대학의 불교교양교과목 운영사례를 바탕으로 불교교양교육이 대학생들의 전인적 성장과 삶의 만족도 향상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을 밝힌다.
[연구 내용] 본 연구는 청년층, 특히 대학생의 행복 문제를 진단하고, 행복 추구 교육의 필요성과 이에 대한 대학생의 요구를 살펴보았다. 또한 행복교육으로서 D대학 불교교양교육의 현황을 검토하고 ‘디지털붓다와의 대화’ 교과목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불교교양교육의 필요성과 효과를 분석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들은 취업, 진로, 학업, 인간관계 등 생활스트레스로 인해 주관적 행복감이 낮았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법과 교육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았다. 둘째, D대학의 불교 교양교과목은 강의 중심의 이론적 접근과 시험 위주의 운영방식이어서 학생들의 관심과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학생들이 학업뿐 아니라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참여형 학습 방식과 효과적인 운영전략 도입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불교교양교과목 운영결과에서 단순히 학문적 지식 습득을 넘어, 자기 성찰과 자기 이해를 통해 개인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자신감 형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삶의 만족도와 행복감 향상에 도움이 되었으며, 전공 학습과 진로 준비 등 다양한 삶의 영역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처럼, 불교교양교육이 학생들의 주관적 행복감 증진과 개인 역량 강화에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explores educational approaches to enhance the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in era of super-aging society. It investigates the need for happiness-oriented education and analyzes the potential impact of Buddhist liberal arts education on students' development and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course at D University.
[Contents] This study examines the happiness challenges faced by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demand for happiness education. It also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Buddhist liberal arts education at D University and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the “Dialogue with Digital Buddha” course.
[Conclusions] First, university students had low well-being due to stressors like employment, academics, and relationships, with a high demand for practical educational solutions. Second, the Buddhist liberal arts courses at D University were lecture-based and exam-focused, failing to address students' needs. Therefore, participatory learning methods are needed. Third, the course helped students develop self-reflec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which improved life satisfaction. Buddhist liberal arts education was effective in enhancing students' well-being and personal growth.
목차
Ⅰ. 서론
Ⅱ. 청년세대의 행복 추구 교육의 필요성
Ⅲ. 청년층의 행복교육과 불교교양교육
Ⅳ.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고령 사회를 살게 될 모든 이를 위한 종교교육: 가톨릭 교회의 맥락에서
- 인간발달을 바탕으로 한 노인의 소명과 기독교교육적 방안: 조이스 앤 머서의 노인이해를 바탕으로
- 초고령화시대, 청년층의 행복과 불교교양교육
- 「보현행원품」 십대행원을 활용한 어린이 법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가정의 종교교육 연구: 청소년 교재를 중심으로
- 종교 활동 경험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 가톨릭교회 주일학교 활동에 대한 현상학적 탐색
- 이웃사회자본 간의 영향관계 및 영향요인의 변화: 종교활동의 영향을 중심으로
- N-gram을 활용한 대학혁신지원사업 참여 대학의 중점추진사업 변화 분석: 2022~2023년 사업계획서를 중심으로
- AI 시대, 대학생의 인성교육 현황과 시사점: 2개 대학의 인성교육 사례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초고령 사회를 살게 될 모든 이를 위한 종교교육: 가톨릭 교회의 맥락에서
- 인간발달을 바탕으로 한 노인의 소명과 기독교교육적 방안: 조이스 앤 머서의 노인이해를 바탕으로
- 초고령화시대, 청년층의 행복과 불교교양교육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